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체제의 형성·유지 과정에서는 체제순응형의 인간개조를 위해 정치사회화가 주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의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정치사회화 과정을 통해 수령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심을 고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수령론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회화의 내용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북한이탈청소년과의 인터뷰를 통해 정치사회화의 실태 및 수령론에 관한 인식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기(1995-1997년)로 명명되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던 당시 북한 청소년들의 경우, 경제위기 요인이 체제순응 및 수령에 대한 충성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주목한다. 북한에서 정치의 비중과 혁명을 계승할 세대로서 청소년의 정치사회화 중요성을 고려할 때, 북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정치사회화 실태 분석은 북한의 현재와 미래의 향방을 가늠하는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North Korean regime, political socialization plays a major role in making people conform to the regime. Especially through the consistent and repetitive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in adolescence, people in North Korea enhance their loyalty and obedience toward their leader. This study aimed at conducting a diachronic examination into the content of political socialization based on the great leader theory, and then analyzing changes in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s'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political socialization and the great leader theory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The study, involving people who spent their adolescence in North Korea hit by the economic crisis called the arduous marching period(1995-1997), focused especially on the effect of economic crisis on adolescents' level of conformity to the regimen and loyalty to the leader. Considering the gravity of politics and the importance of politically socializing adolescents in North Korea as a generation that will carry out the revolutionary work left unfinished by the current generation,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reality of political socialization of adolescents in North Korea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people to gauge the present and future of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