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국내 사회적 현안에 대한 뉴스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가운데 의제설정 이론의 개념적 영역을 공중 의견과 행동적 차원으로 확장한 의제설정 효과 모형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황우석 박사 사건을 중심으로 뉴스 미디어가 구성한 이슈와 속성 현저성이 공중의 지각과 행동에 미치는 단계적 효과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TV를 중심으로 황우석 사건 보도에 대한 분석과 추후 수용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의제설정 효과 모형의 주요 가정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차 의제설정의 주요 개념인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속성 의제설정 가운데 주로 정서적 차원과 이슈의 현저성을 검증한 부차적 효과에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이슈와 속성 현저성이 공중의 참여적 행동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뉴스 미디어, 특히 방송 뉴스에서 공중으로 전이된 이슈와 속성 현저성이 이슈에 대한 공중의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확장된 속성 의제설정 효과 모형의 이론적 가정을 부분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irically the validity of agenda-setting model, which has been extended theoretically to public opinion and behavior toward major critical issues in our society. To accomplish the goal, the study focused on Dr. Hwang case. That is, the study analyzed how major broadcasting news transfer their news agenda as well as news attributes to the public perception, opinion, and behavior, so called "attribute agenda-setting effec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ews media attributes and public opinion toward the attribute in terms of affective dimension rather than cognitive one. Also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compelling argument." Finally, the study found the agenda-setting effects on public behavior toward Dr. Hwang's cas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