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성상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사상(私商)으로서 가장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상품 공급망을 갖추고 있었다. 현대 시장 경제에서 효율적인 공급망을 갖추기 위해 힘쓰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 후기 시장 경제에서도 공급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개성상인의 상거래 활동에 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공급사슬망의 관점에서 이들의 상거래 활동 사례를 분석하였다. 개성상인의 상거래 활동을 현대적 의미의 공급사슬망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ⅰ.생산,ⅱ.생산/유통, ⅲ.유통, ⅳ.유통/판매, ⅴ.판매, ⅵ.생산/유통/판매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생산 활동 참여 유형은 생활에 필요한 물자나 용역을 만들어 내는 행위로서, 자본투자로 이익을 얻음으로써 생산에 일조하는 형태와 제조업 형태를 포함하였다. 생산/유통 참여 유형은 생산에 참여하여 물품을 만든 후 유통시키는 과정으로 분류되고, 유통 참여 유형은 개성상인의 일상적인 참여 과정으로 인삼, 양대, 포목 등 다양한 물품의 유통을 주도했다. 유통/판매 참여 유형은 현대적 개념에서의 도‧소매 및 물류운송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업 간의 상거래(B2B),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상거래(B2C)가 공존하는 형태이다. 판매 참여 유형은 직접 소비자에게 파는 과정으로서 기업과 소비자간의 상거래(B2C)와 기업과 정부 간의 상거래(B2G) 형태를 포함한다. 생산/유통/판매의 전 과정 참여 유형은 공급사슬망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형태로서 대규모의 자본이 소요되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개성상인의 공급사슬관리의 시기별 변화를 보면 17~18세기에는 생산지로 직접 찾아가 대규모의 자본으로 상품을 집중 매집하여 중간 유통 단계를 장악하였으며, 19세기에는 개성상인이 점차 생산에까지 관여하여 공급사슬망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여기에는 개성상인의 상업자본이 산업자본으로 확대되는 큰 변화가 있었다. 개항 이후부터는 상업 환경의 변화와 뒤이은 일제강점기의 정치․경제․사회적 변화로 인해 개성상인은 자본은행을 비롯한 여러 업종에 투자를 시도하여 자본의 진화를 꾀함과 동시에 경영의 다각화를 진행하는 변화 형태를 보여준다.


The Gaeseong merchants are one of the best merchants groups which had a broad and systematical supply chain networks. As the modern market economy tries to have a efficient supply chain network, there were various effort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is study analysed the commercial activity cases of the Gaeseong merchants from a supply chain viewpoint,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from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of Chosun Dynasty. Compare with the types of supply chain of the Gaeseong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for the contemporary meaning, it can be divided into six types :ⅰ. Production, ⅱ. Production/Marketing channel, ⅲ. Marketing channel, ⅳ. Marketing channel/Sales, ⅴ. Sales, ⅵ. Production/Marketing channel/Sales. For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of the Gaeseong merchants, in the 17-18th, they went to the production sites to buy up all goods and held the middle marketing channels using the large capital. In the 19th, they were engaged in production and took all parts of the supply chains. There were big change from commercial capital to industry capital. As the commercial environment changes and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hanges during Japanese ruling era, the Gaeseong merchants, after open a port, showed the various trials to evolve the capital such as capital bank and to diversify business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