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70년대 소비재 산업(제과업)에서 근대적 대기업의 등장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1970년대 소비재 산업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드물다. 이는 1970년대 한국 경제의 산업적 특징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1970년대는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화 발전전략과 수출산업 육성으로 상징되는 시기이다. 대부분 자본은 이들 분야에 집중 투하됐다. 이로 인해 전형적 내수 부문인 소비재 산업은 두드러지게 시야에 들어오지 않을 뿐 아니라 실제로 정책적 억압의 대상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연구에 의하면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화가 한창 진행되던 1970년대에 소비재 산업 분야에서 근대적 대기업이 출현하고 있었다. 시장 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대해 기업들이 대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근대적 대기업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국가-중화학공업-수출 대기업으로 강하게 이미지화돼 있는 1970년대에 시장-소비재 산업-내수 대기업의 영역이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 연구는 규명했다. 본 연구는 우선 한국 소비재 기업의 발전과정에 대해 기업사적 측면의 시기 구분을 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근대적 대기업의 출현과 그 양태는 기업사 연구의 핵심적 영역 중 하나인데, 소비재 산업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그러한 시도를 한 연구이다. 경영구조의 혁신과 시기 구분에 대한 분석은 산업간 또는 국가 간 기업 발전단계에 대한 비교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이 연구는 알프레드 챈들러의 근대적 대기업 (Modern industrial enterprise)의 이론 틀에 의해 분석을 시도했다. 대량 유통(Mass distribution)과 대량 생산(Mass production)의 수직적 결합(Vertical integration)을 통해 탄생하게 되는 근대적 대기업의 특징은 한국의 제과업에서도 전형적인 모습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는 챈들러의 이론 틀을 국내 소비재 산업에 적용한 첫 사례에 속한다. 이러한 기업사적 의미 외에 소비재 산업, 그것도 대표적 기호품인 제과업에서 1970년대에 근대적 대기업이 탄생했다는 사실의 규명은 기존 거시적 통념(국가-중화학공업-수출 대기업)에 미시적 조정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대단히 강한 ‘국가의 시대’에 시야 밖에 있던 소비 부문에서 ‘시장’이 튼튼하게 성장하고 있었다는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소비재 부문에서 새롭게 찾아진 단서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한 소비 부문을 연구하는데, 그 구조적 연원을 추적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mergence of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in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through Chandler’s theoretical framework. The research found that the transition to modern structure began in the late 1960s and was completed by the mid 1970s. Chandler’s theory on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that traditional single-unit companies transform to multi-unit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of mass production with mass distribution can be well applied to this transition. In this process, salaried managers who were specialized in their own fields emerged and they formed managerial hierarchy in the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This article contributes to looking at different periods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It is also the first case where Chandler’s theory is applied to the Korean industry. Furthermore, it would be possible that its argument (market-consumer goods industry-domestic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revise the existing main view on industrial landscape (government-heavy chemical industry-big business for the exports) in the 1970s. In this regards, this research as a micro analysis concerning the managerial structure can complement the existing macro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emergence of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in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through Chandler’s theoretical framework. The research found that the transition to modern structure began in the late 1960s and was completed by the mid 1970s. Chandler’s theory on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that traditional single-unit companies transform to multi-unit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of mass production with mass distribution can be well applied to this transition. In this process, salaried managers who were specialized in their own fields emerged and they formed managerial hierarchy in the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This article contributes to looking at different periods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ectionery industry. It is also the first case where Chandler’s theory is applied to the Korean industry. Furthermore, it would be possible that its argument (market-consumer goods industry-domestic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revise the existing main view on industrial landscape (government-heavy chemical industry-big business for the exports) in the 1970s. In this regards, this research as a micro analysis concerning the managerial structure can complement the existing macro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