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방직기술자 및 기능자 명부"에 수록된 기능인력을 통해 1960년대 이전 면방직공장에서 활동하던 기능인력의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부」에 수록된 643명의 남성 중에서 기능인력으로 분류될 수 있는 584명의 평균 연령은 37.7세이며 평균경력은 15.7년, 학력은 전체의 74.1%가 국민학교 졸업이었다. 이들의 85%는 30대와 40대였으며, 51%가 제2차 세계대전 기간부터 경력을 쌓았다. 둘째, 입사 이전에 공업관련 정규교육을 받은 68명의 기능인력 중에서 58명이 공업학교 졸업이나 중퇴 학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官立京城工業學校’나 ‘京城公立工業學校’를 졸업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교과과정은 주로 실습 위주의 기초적인 공업교육에 한정되었다. 셋째, 643명의 남성기능인력 중에서 입사 이후에 기능인력으로 양성된 경우가 전체의 88%를 차지하는 516명이었다. 이들은 입사 이후에 주로 설비를 담당하는 부서에서 보조, 청소, 수리 보조, 수리 등의 업무를 맡으면서 암묵적 지식의 전수를 통해 숙련인력으로 양성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확인한 시사점은 첫째, 1960년대 이전 현장에서는 입사 이후에 이루어진 암묵적 지식의 전수와 이를 통한 숙련화 과정이 기능인력 양성의 중요한 경로가 되었다. 범용기술과 숙련노동을 위주로 하는 면방직공업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둘째, 신기술과 신산업부문 진출을 통하여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암묵적 지식의 전달과 기능의 숙련을 넘어설 수 있는 기능인력의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양성이 절실했다. 뿐만 아니라 교육제도 개편 등을 통한 기능인력의 양적 확대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skilled cotton textile technicians listed on the “A Register of Textile Engineers and Technicians,” published by the Korean Textile Association in 1954. The main findings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ister” consists of 643 male workers. 584 workers of them can be classified into the skilled labors, The average age of the skilled workers is 37.7 years old,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is 15.7 years. 74.1 percent of them ar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85 percent of them are between 30 and 49 years old and 51 percent had started to make their career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econd, 68 technicians had received regular school education before entering the factories, and 58 of them graduated or dropped out the technical school.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enrolled in “Government Kyung Sung Technical School” or “Kyung Sung Public Technical School”. Their curriculum provided rudimentary technical education centered on the hands-on training. Finally, 516 people, or 88 percent of total 643 male workers in the “Register”, had been trained as the technical labor after joining their factories. They mainly took charge of assisting operation, organizing and cleaning work place, repairing and assisting maintenance for facilities. Carrying out their duties, they had been nourished as the skilled labor through the implicit knowledge passing down. These results of the paper show that the implicit knowledge transfer and training programs in the working site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s in nourishing the skilled labor. In particular, these methods for cultivating the skilled workers were more important in the cotton textile industry because the general-purpose skills and skilled labor were mainly needed in this industry. Therefor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in 1960s, instead of the implicit knowledge passing down and imformal training programs,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nourishing skilled labor had been seriously required to achieve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new technology and moving into new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