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말 이래 맞벌이가구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09년 현재 도시근로자가구(유배우)의 45%를 차지해 우리사회 대표가구 유형이 되었다. 본 연구는 1999년과 2009년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소비지출구조의 변화를 맞벌이와 홑벌이가구를 대비해 분석하였다. 서구사회에서 맞벌이가구는 노동절약 시간절약형 재화 및 서비스 구매비용이 높고교육지출 비중이 적은데 비해 우리사회는 몇가지 점에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첫째, 경제위기이후 우리사회에서 가계지출 변화를 추동한 핵심적 품목은 교육비이고, 맞벌이가구에서 지출비중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홑벌이 가구 역시 교육비를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지만,맞벌이가구가 소비지출의 더 많은 비중을 교육에 할애하는 교육집중 가구이다. 둘째, 맞벌이를 통한 추가소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맞벌이가구는 삶의 질과 연계되는 오락문화소비에서상대적 우위에 있지 못하며, 의복이나 내구재 소비등 풍요형 소비에서도 우위에 있지 않다. 맞벌이가구의 소비는 현재의 복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녀세대의 소비를 보장하기 위해 유보된 소비이며, 맞벌이에 동반되는 시간부족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사노동의 외주화와 관련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결론에서 이와 같은 발견이 우리사회 맞벌이화 현상과 관련해갖는 함의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nges of household expenditure structure by household type in the transition to ‘the dual-earner society'. Since late 1990s economic crisis, the proportion of dual earner households has increased constantly and it reaches almost half of the married couples in urban working households as of year 2009. How is this change related to the household expenditure? First, the household budget share of education has been fastly growing since late 1990s and education expenditure is the leading factor in the change of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 The budget share of education is higher in the dual-earner household, in which the priority of consumption expenditure consists in the education. Second, the shares of clothing, durables and culture consumption are less in dual earner compared to one earner household inspite of the dual earner's income advantage. Consumption of dual earner household can be characterized as resverved for the future of the children, not for current family well being. General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transition to dual earner societ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