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흄은 윤리회의론과 종교독단론의 양극단을 거부하고, 종교교육에 있어서 공공성을 부각시키면서자연주의 관점과 경험주의 관점을 접목시켰다. 그는 자연주의와 경험주의 태도가 함께 접목된 ‘공공성’을 위해 종교의 위선에 대한 공분(公憤)의 고발정신을 부각시켜 종교의 윤리성 회복이 중요하다는 취지에서 종교교육에서 공공성을 살려내고자 노력하였다. 자연종교는 외부적 개입으로 인해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 개인이 스스로의 감성과 이성의 판단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는 종교를 말한다. 루소는 자연종교를 자연적인 원리에 따라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종교교육 방법을 부각시켰다. 루소는 종파와 종교의식의 외형을 중시하지 않고 내적 감정에 의해서 종교를 선택하고, 내적인 감정에 성실한 형태의 예배를 드리는 것을 종교교육의 방향으로 설정하면서, 이성과 양심의 빛에 민감한 교육을 주장하였다. 이처럼 계몽주의 시대의 종교교육은 학습자 스스로 체험하고 스스로의 내적 힘을 고양시켜 자연종교의 바탕이 자극을 받고 성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계시나 설교보다 감성과 양심의 빛을 고양시켜 체득된 신앙의 원리를 통해서 종교교육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보았다. 계몽주의 종교교육은 진리에 성실하고 자기 구원의 길로 나아가도록 돕는 교육을 말한다. 따라서 종교교육은 타인으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찾아가는 교육으로, 이 과정에서 타종교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녀야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며 시민교육으로 연계된다. 흄과 루소는 종교교육의 목표에 있어서 차이가 드러나지만, 종교적 진리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이성보다 보편적인 감성의 상통에 우위를 두어야 된다고 파악하였다. 종교교육의 방법론에 있어서, 흄이 종교교육의 사회화를 강조한 것이라면, 루소는 종교교육의 제도화에 역점을 둔 것으로 파악된다.


With the beginning of a new century, religion is coming to the fore as one of themost serious problems. By making different religions coexist with one another throughoutthe world, the Globalization raises not a few conflicts and crashes. The purpose of thistreatise is to examine on the comparative methodology of Religious education betweenDavid Hume and Jean Jacques Rousseau in the Enlightenment period. D. Hume negatedboth ethical scepticism and religious dogmatism and respected public common life. Heinductively criticized private rationality and empirically adopted public common sentimentsas responsibility towards daily life. D. Hume was correlative share between naturalistic attitude and empirical standpoint. Since he observed the daily life related with religious issues, he was a naturalist becausehe developed public common sentiments in an experiential manner to solve humanitysentiments and sympathetic feeling. He focused on social dimension in Religious educationAccording to J. J. Rousseau, religious education is not abstract or metaphysical theoryby learners themselves experience. He focused on institutional dimensions in religiouseducation for their own inner nature can be stimulated and be mature. Religiouseducation for their principles can be found in God’s faithfulness to the truth by the wayof self-cultivation in religious education. Now we can say that the teaching of religious education is to communicate each other,based not on reason but on emotion. And the result of this process across all situationsshould have an openness to other religions. Rousseau’s intention on the religiouseducation was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ocial institution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