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생명윤리는 생명이 존속하고 생명과학과 의학기술의 발전이 계속되는 한 , 사라지지 않 고 지속될논쟁거리이다. 그런 의미에서 2005년 발생한 황우석 사태는 생명윤리논쟁과 관련해서 전 국민적관심사를 환기시켜 준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은 수명연장과 건강증진 등 의학적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그 이면에 안락사, 생명복제, 유전자 검사 등의 생명의 존엄성 침해라는 사회⋅윤리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그 래서 개별 생명윤리의 문제에서 해당 행위가 윤리적으로 ‘옳음’과 ‘그름’의문제를 가지고 지속적인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생명윤리교육은 각각의 이슈들에 대한 찬반논쟁에 그쳐서는 안 된다. 생명에 대한 이해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성찰 없이 이루어지는 찬반논쟁은 단순히 흥미위주의 것으로 전락할 수 있기때문이다. 본 논문은 신앙생활이 생명윤리의식수준을 높여준다는 연구결과를 전제로 생명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와 생명의 존엄성에 기초한 생명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생명윤리의 문제는 종교심에 바탕을 둔 인성문제와 궤를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순진리회에서는 타 종단과 마찬가지로 생명의 가치를 우선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의 생명이해를 바탕으로 해원상생⋅보은상생의 생명윤리를 살펴볼 것이며, 생명윤리는 실천윤리임에 착안하여 일상생활의 실천윤리인 훈회를 통해 종교심에 근거한 인성함양의 문제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As long as life exists and life science and medical technology develops, Bioethic is continuously debatable issue. Because of this, Hwang Woo Suk situation happened in 2005 had a role to remind all the people to find out the problem with Bioethic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technology achieved lots of medical result such as life extension and health improvement, there is double-sideness that can occur social ethical problems which are euthanasia, cloning, genetic testing that can violate dignity of life. Due to this, there is a constant debate in individual bioethical problem whether these actions are ethically right or not. Bioethical education should not be a mere pros and cons debate about each issue. Without understanding life and introspect of life dignity can lead the debate only into interest.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 that religious belief life improves bioethical life and we are trying to find out the responsibility of life and the need of education of bioethical from education of religion on Daesoonjinrihoi. The problem of bioethic is the humanity which is based on the religious spirit. As well as other religious, in Daesoonjinrihoi first priority is the value of life. Thus, this research paper is trying to explore bioethic of Haewonsangseng(Co-existence through Resolution of Grievances), Boeunsangseng(Co-existence through of Faver returning), based on understanding of life in Daesoonjinrihoi. Moreover, through Hunhoi(the code of conduct) which is practical ethic of daily human life we are trying to debate about the issue of cultivation of character based on religious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