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비평문 분석을 통해 그들의 교육적 안목을 파악하고 사범대학 교원양성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소재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5명으로부터 수업비평문을 수집하였으며 수업비평문 분석을 위한 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에서 수행된 2학년 영어과 7단원(Life without sight)의 1차시 수업 동영상을 탐색하고 수업비평문을 작성하였다. 이 수업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우수 수업’의 하나로 선정된 것으로 교사 웹사이트에 공개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비평문에 내재되어 있는 예비교사의 수업안목을 ‘수업읽기’, ‘수업보기’, ‘수업배우기’의 3가지 영역에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학습자 측면’, ‘학창시절에 경험한 교실환경 및 수업상황’, ‘반성적인 인식’, ‘교수-학습방법의 문제점 탐색 및 방안 제시’와 같은 관점에 초점을 두고 수업을 비평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논의하고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수업비평의 기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was aimed to identif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erspectives through analysis of class critique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college of educa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critical essays from 35 pre-service teachers in private university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A tool for analyzing the critical essays was produced. They were asked to write a class critique after watching a video-taped 2nd graders’ English class in ○○ secondary in Seoul. This lesson has been selected as one of the best lessons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were being published on websites for teachers. In this paper,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in critical essays were investigated with three sections, such as ‘reading lesson’, ‘reviewing lesson’, and ‘learning lesson’. Through this paper,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 tendency to criticize a lesson for focusing on ‘learners’ point of view’, ‘classroom environment and lesson situation of their school days’, ‘introspective awareness’, and ‘searching for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for teaching & learning in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present basic measures of class critique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