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의 인터뷰과제 수행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관심사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인 학습경험, 그리고 인터뷰가 갖는 교육적인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109명의 예비교사들이 제출한 인터뷰 실시 보고서를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교육현상과 정책, 교직수행의 다양한 장면에 대한 탐색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구체적인 학습경험은 사전준비를 통한 학습경험, 주제와 관련한 사실적, 상황적 정보의 습득, 교육현장에 대한 심화된 이해, 정보원에 대한 성찰과 인식의 변화,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 인식과 계획수립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인터뷰 과제의 교육적 효과성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은 인터뷰가 유용한 정보획득의 수단임을 인식하였으며, 추가적인 학습과제 도출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그러나 제한된 대상에 대한 인터뷰의 수행은 주제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정립하는데 충분치 않음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뷰를 활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더욱 다양한 적용과 논의, 모형의 정립과 같은 추가적인 과제들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while they conduct interview with the experienced teachers and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such interview processe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10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inservice teacher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implemented into the interview report that included preservice teachers’ interview transcript,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reflective comments.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implemented interviews on various topics such as educational polices, issues, the reality and culture of teacher community.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interviews, they reported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They accumulated factual knowledge about the interview topics and deepened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bout the circumstance of school and teacher’s perspectives. Furthermore, interview experiences provided reflective learning opportunities about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service teachers. Reflective learning leaded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ir identity as a teacher and to elicit further learning plans to be a competent teacher. The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interview could be effective way to collect valuable, contextual information. However, they also recognized the limit of interview in that drawing out clear conclusion about the complicated educational issues with just one time implementation of interview. Based on the result, there are clear needs to conduct further empirical studies about interview use as an education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