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대학생들이 진로 적응성을 갖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환경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여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이러한 대학생 시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인 진로 적응성과 다양성 수용도 및 협동학습 역량은 한국과 미국의 다른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므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그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거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이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 및 진로 적응성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그리고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이 진로 적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 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경우 충남 대전의 C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12명을, 미국의 경우 워싱턴주 시애틀 W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 검증,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다양성 수용도, 협동학습 역량 그리고 진로 적응성에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모두 미국 대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 및 진로 적응성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 적응성은 다양성 수용도 및 협동학습역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로 적응성이 다양성 수용도와 협동학습 역량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고 예언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협동학습역량과 다양성 수용도가 정적 영향력이 있었고, 미국 대학생의 경우 협동학습역량만이 정적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한국의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diversity accept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of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Also,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between the students of two countries and pursued their im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Kore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D city in Chungcheongnamdo, Korea and 97 American students in a college located in S city in Washington State, USA. Results from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that American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diversity accept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than Korean students. Second, for both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diversity acceptab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In addition, career adaptabi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diversity acceptability as well as with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Third, in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diversity accept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were the positive predictors of career adaptability, while in case of American college students only diversity acceptability was the positive predictor of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 for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for Korean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