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과 서책형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 교사의 담화를 중심으로 교실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에 위치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에서 과학과 수학 수업을 담당하는 동일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였다. 이 교사는 해당 과목의 같은 차시를 각각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 관찰하는 동안 서술적 관찰일지를 작성하고 수업의 내용을 비디오로 녹화하였으며, 수업 내용을 전사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 대상의 인터뷰와 학생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수행하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 수업내용에 대한 분석은 수업 중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을 대상으로 언어기능, 인지전략, 사회적 처리의 관점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언어기능의 경우에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수업에서 대체로 조직적 상호작용의 발생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책형교과서를 사용한 수업에서는 그 보다 단순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더 많았다. 인지적 전략의 경우에는 교과영역 및 교과서 종류에 따라서 뚜렷한 일관성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수학과목의 경우에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집단에서 탐구적 상호작용이 더 많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적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도 교과영역 및 교과서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수업내용에 대한 분석은 교과의 특징 및 단원내용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보편화하여 설명할 수는 없으나,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상호작용과 수업의 과정을 심도깊게 분석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classroom interaction occurred in digital textbook instruction and paper textbook instruction by analysing teacher's discourse. The data was collected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outhern Korea. The researchers observed science and math classes taught by the same teacher. The teacher taught same units in both digital textbook instruction and paper textbook instruction. Total of 12 units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To triangulate, multiple source of data was collected including observation, teacher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students. To analyse teacher's discourse, interaction analysis framework(Kumpulainen & Wray. 2002) was employed. The framework categorizes classroom interaction as language function, cognitive process, and social process. In terms of language function, organization interaction was more frequently occurred with digital textbook, while conventional textbook showed more simple interaction such as responsive.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here was no prominent patterns by types of textbooks. However, in mathematics, there was more explanative interaction with digital textbook. In terms of social process, dominant with conventional textbook in science class and dominant with digital textbook in math class were noted. In math class tutoring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