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수행되는 강의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강의평가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인식을 바탕으로 강의평가에 대한 ‘응답 건전성’, ‘만족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 등을 탐색하였다. 특히, ‘응답 건전성’은 ‘① 자율성, ② 숙고성, ③ 객관성, ④ 기여가능성’ 등 4개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강의평가에 대한 응답 성향, 응답 건전성 수준,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강의평가를 수행할 때 전공과목을 가르치는 교수에게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 건전성 중 ‘숙고성’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객관성, 자율성, 기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은 ‘수업개선과 무관한 강의평가’, ‘교수에게 수용되지 않는 평가결과’, ‘익명성 보장의 불확실성’을 현행 강의평가의 문제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의평가 방법 및 문항 개선’, ‘강의평가 결과 공개’, ‘교수 재임용에 반영’, ‘강의평가 절차 변경’ 등과 같은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강의 수강에 도움을 주는 바람직한 강의평가 수행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students toward course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der & grade and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lecture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explored ‘integrity of responsive attitudes’, ‘satisfaction’, ‘problems and new directions’ for lecture evalu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tudents. In this study, the ‘integrity of responsive attitudes’ were analyzed into 4 dimensions, namely, ‘① autonomy, ② consideration, ③ objectivity, ④ contribution possibility.’ Data was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lecture evaluation in their courses. 295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the current study, we drew the following findings, response orientation, status of the integrity in responsive attitudes, problems and new directions for course evaluations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first, we identified that students tended to give higher scores to professors who teach subjects. Second, we founded that students scored highest on ‘consideration’, and then objectivity, autonomy, contribution possibility. Third, we explored that students perceived ‘course evalua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lesson improvement’, ‘evaluation result that are not acceptable to professors’, and ‘uncertainty about guarantee anonymity’ as problems in course evaluation. Firth, we identified that school authorities should prepare improvement plans for course evaluation, such as ‘reformation of evaluation methods & items’, ‘disclosing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reflecting in the re-appointment’, and ‘changing course evaluation procedur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red course evaluation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in hig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