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상화자가 대면대화상황과 전화대화상황에서 직접 병리적인 비유창성(반복, 연장, 막힘) 발화를 사용함으로써 말더듬화자에 대한 인식변화로 나타나는 가짜말더듬효과의 유무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에서 유창성장애 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48명의 언어치료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대화상황에서 가짜말더듬 과제를 완성하고 과제수행 전과 후 미리 제공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질문지는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가짜말더듬 관련 인식 정도, 말더듬화자에 대한 인식 변화, 대화상대자의 반응에 대한 인식 정도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말더듬화자에 대한 인식 변화에 있어 ‘나는 말더듬화자가 공공장소에서 고립감을 느낄 것 같다’는 문항에서 과제수행 전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대화상황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외 말더듬 화자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나머지 문항들에서 과제수행 전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화상황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가짜말더듬 관련 인식 정도와 대화상대자의 반응에 대한 인식 정도를 묻는 문항들 모두에서도 과제수행 전과 후 그리고 대화상황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임상에서 말더듬을 치료할 예비언어치료사에게 교과과정 중 가짜말더듬 과제의 수행은 실시하는 대화상황과 관계없이 말더듬화자에 대한 감정이입적 이해 증진을 위해 유효한 교육적 시도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on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seudo-stuttering effect" (i.e., enhanced understanding of people who stutter as a result of pseudo-stuttering experience) between two different conversing situations, that is, face-to-face conversation and conversation over telephone. Forty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24 students assigned to a group of "face-to-face conversation", 24 students assigned to a group of "conversation over telepho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pseudo-stuttering experience. Responses to 29 questions using a 5-pt. Likert-type scale were analyzed for students' preparation, perceptions of people who stutter, perceptions of listeners' reactions, and feelings or attitudes mainly associated with pseudo-stuttering experiences.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or- and post-experience in terms of participants' perceptions of persons who stutte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speaking situations in terms of preparations, feelings and attitudes associated with pseudo-stuttering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listeners’ reactions.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pseudo-stuttering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reliable ways to obtain a better or empathic understanding of people who st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