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60년대 이후의 한국 근현대경제사 연구를 각 시기에 제시된 주요 역사상들에 주목하여 회고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 근현대사는 식민지배의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의 경제적 변화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지가 연구자들의 고민이었다. 1980년대 말을 경계로 앞 시기에 제시된 역사상들은 공통적으로 식민지 시대를 근대화의 왜곡, 저지의 시기로 보았다. 반면, 뒤의 시기에 새로 제시된 역사상들은 대체로 식민지 시대에 나타난 경제적 변화를 해방 후 고도성장과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0년대 이후의 이른바 식민지 근대화 논쟁은 그러한 역사상들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배의 부당성에만 초점을 맞춘 논쟁은 상대적으로 학술적·현재적 의의가 빈약해 보이지만, 한국 경제의 특질을 풍부하게 밝힌다는 측면에서 식민지성에 관심을 가지는 일은 여전히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tries to summarize historiograph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economic history. Since Korea experienced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empire, the integration of the period into her modern history was the key challenge to Korean economic historians. Until the late 1980's colonialism was interpreted as distortion or obstacle in her modernization process. New approaches to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period to search for the preconditions of her rapid growth emerged in the 1990's, followed by cliometric studies in the 2000's. So called "colonial modernization debates" were crashes between such different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