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에서 정당일체감을 가진 유권자 집단의 변화를 분석한다. 1986년부터 2012년에 이르는자료를 통해 신뢰성있는 지표를 확보하여 추세를 살펴보았는데, 정당일체감은 차츰 늘어났다. 이러한 변화가 세대교체의 효과인지, 생애주기상의 변화인지를 분석했다. 생애주기는 반복적인 투표행위를 통해 나이들면서 정당일체감이 강화된다고 보는 반면, 세대교체는 세대마다 다른 인식과 태도로 인해 정당일체감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논리이다. 결합자료를 통한 분석결과,생애주기로 인한 정당일체감의 획득이 압도적이며, 386세대가 전쟁세대에 비해 약간 정당일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무당파의 증가라는 통념은 틀렸으며, 정당일체감의많고 적음은 세대적 현상이 아니라, 정당정치에 대한 노출기간에 따른 연령효과라는 사실을발견했다.


This paper examines how life-cycle and generation experience affect party identification in South Korea. The series of reliable measure covering 1986-2012 shows a gradual increase in the size of voters attached on political parties. The weak partisanship among young voters has been explained either by short exposure on electoral politics(life-cycle thesis) or by generational effect(cohort thesis). By analyzing pooled cross-sectional data, we find an evidence supporting that ageing increases party identification. Further, 386 generation is a little more attached on parties compared with their predeces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