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견관절 아탈구가 있는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테이핑 기법의 종류에 따라 견관절 아탈구 상태와 견관절 통증 변화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편마비 아탈구 환자 총 45명 중 7명이 제외된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군 12명, 탄력 테이핑군 13명, 그리고 비탄력 테이핑군 13명으로 나누었고, 아탈구 환자 중 통증이 없는 10명을 제외한 대조군 10명, 탄력 테이핑군 8명, 그리고 비탄력 테이핑군 10명을 대상으로 6주간 실험하였다. 테이핑 적용은 탄력 테이핑군과 비탄력 테이핑군에게 일주일에 2번 테이핑을 처치하였다. 측정은 2주에 한번 씩 총 6주 동안 측정하고, 측정 시 3번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아탈구 측정은 지그 측정을 이용하였고 통증 측정은 100 mm 시각적 상사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테이핑 기법에 종류에 따라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아탈구의 감소를 비교한 결과, 탄력 테이핑과 비탄력 테이핑이 대조군보다 더 큰 아탈구의 감소율이 나타났다. 특히 비탄력 테이핑군이 탄력 테이핑군보다 더 큰 아탈구 감소율을 보였다. 테이핑 기법에 종류에 따라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통증의 감소를 비교한 결과, 탄력 테이핑과 비탄력 테이핑이 대조군보다 더 큰 통증 감소율이 나타났다. 특히 비탄력 테이핑군이 탄력 테이핑군보다 더 큰 통증 감소율을 보였다. 결론: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아탈구와 통증 감소에 효과적인 다른 중재행위와 더불어 비탄력 테이핑의 적용이 임상 물리치료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추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rapping shoulders with non-stretchable and stretchable tapes to prevent subluxation and pain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ith subluxation of the hemiplegic shoulder were randomly allocated to 3 groups: non-stretch taping group (NSTG, n=13), stretch taping group (STG, n=13), and control group (CG, n=12). Taping session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for 6 weeks. The patients were assessed every 2 weeks with the Jig test and visual analog scal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CG and NSTG (P<0.01), CG and STG (P<0.01), and NSTG and STG (P<0.05) in the rate of change in hemiplegic shoulder subluxation and pai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apping with non-stretchable tape is more beneficial than with stretchable tape in preventing subluxation and pain. Clinicians might recommend non-stretchable tape to their stroke patient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rapping shoulders with non-stretchable and stretchable tapes to prevent subluxation and pain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eight patients with subluxation of the hemiplegic shoulder were randomly allocated to 3 groups: non-stretch taping group (NSTG, n=13), stretch taping group (STG, n=13), and control group (CG, n=12). Taping sessions were performed twice a week for 6 weeks. The patients were assessed every 2 weeks with the Jig test and visual analog scal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CG and NSTG (P<0.01), CG and STG (P<0.01), and NSTG and STG (P<0.05) in the rate of change in hemiplegic shoulder subluxation and pai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rapping with non-stretchable tape is more beneficial than with stretchable tape in preventing subluxation and pain. Clinicians might recommend non-stretchable tape to their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