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간접흡연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은 불분명하며, 이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층 한국인의 간접흡연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제5기(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40 세에서 64세의 남자 583명과 여자 3,86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참가자는 비흡연자 혹은 평생 5갑 미만의 흡연을 한사람이었다. 건강설문을 통해 가정내, 직장내 간접흡연 노출여부를 구분하였고, EuroQoL five dimensions (EQ-5D) 를 통해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간접흡연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알아보았다. 결과: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가구소득, 직업유무, 기저질환 유무, 간접흡연 노출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은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한 결과, 가정내 간접흡연 노출이 있는 경우 EQ-5D 의 불안/우울 항목에서 문제가 있음에 대한 오즈비가 1.49 (95% confidence interval: 1.02-2.18)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한국인 중년층의 가정내 간접흡연 노출은 불안, 우울과 관련성을 보인다.


Backg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hand smok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 still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aged Korean adults. Methods: Data from 583 men and 3,869 women aged 40 to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 to 2012 were evaluated. All of them are non-smokers or have smoked less than 5 packs of cigarettes for their whole life. Secondhand smoke exposed at home and workplace was assessed by using a questionnaire and HRQoL was assessed by EuroQoL five dimensions (EQ-5D). The association of secondhand smoke and HRQoL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Low HRQoL was associated with sex, age, body mass index,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level, occupation status, underlying diseases and secondhand smoke exposure. After adjustment for variables, secondhand smoke exposure at h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nxiety/depression dimension of EQ-5D (Odds ratio: 1.49, 95% Confidence interval: 1.02-2.18). Conclusions: Secondhand smoke exposure at home i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dimensions of EQ-5D in middle-aged Korean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