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위생수준 향상으로 A형 간염의 이환 후 항체형성률이 낮아짐에 따라 A형 간염의 예방접종이 권고되고있으나, A형 간염 예방접종 현황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형 간염 예방접종 권고대상인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A형 간염 예방접종 현황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라남도 한 개 대학에서 편의추출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통해 대상자 일반적 특성, A형 간염 예방접종 여부 및 의향을 수집하였다. 카이제곱과 다중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결과: 총 503명 중 A형 예방접종 접종은 12.9%가 받았다고 응하였으며,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adjusted odds ratio,aOR=2.44; 95% confidence interval, 95% CI=1.26-4.73), A형 간염을 알고 있는 경우(aOR=6.00, 95% CI=1.81-19.91),A형 간염 예방접종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aOR=2.05, 95% CI=1.07-3.93) 접종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모른다고 응답한대상자 437명 중 A형 간염 예방접종 의향이 있는 경우는71.9%로, 학년이 높은 경우, 용돈을 많이 받는 경우, 개인보험이 있는 경우, A형 간염 예방접종을 알고 있는 경우,A형 간염에 걸릴 수 있다고 생각하거나, 심각한 질병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예방접종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예방접종 의향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A형 간염 예방접종백신 접종률은 12.9%로 상당히 낮았다. 향후 A형 간염 예방접종률 향상을 위한 관리 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Hepatitis A is an acute infectious disease of the liver caused by the hepatitis A virus (HA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V vaccinat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03 students conveniently sampled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one district of Jeollanamd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AV vaccination related factors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 October 2013. Chi-square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 related factors with HAV vaccination. Results: Of the 503 subjects without a history of HAV infection, 65 subjects (12.9%) reported that they were vaccinated. In multiple analyses, subjects who have had health screening (adjusted odds ratio, aOR=2.44 and 95% confidence interval, 95% CI=1.26-4.73) and those who were aware of HAV infection (aOR=6.00, 95% CI=1.81-19.91) or who perceived the benefits of HAV vaccine (aOR=2.05, 95% CI=1.07-3.93) were more likely to be vaccinated than those not involved in these factors. With regard to intention for HAV vaccine, 314 subjects (71.9%) reported that they have the intention to be vaccinated against HAV. In multiple analyses, higher grade level, high monthly allowance, awareness of HAV vaccine, perceived susceptibility of HAV, perceived seriousness of HAV and perceived benefits of HAV vaccin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for HAV vacc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