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考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1464∼1498)과 그를 모셨던 충청도 목천(木川)에 있었던 도동서원(道東書院)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에 있다. 나아가, 천안(天安)의 발전을 위해 본받아야 할 위인으로서 선비정신의 표상이 되는 탁영의 모습을 재조명하고, 나아가 이제는 흔적만이 남아 있는 도동서원이 복원되어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전통적 도의(道義)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15세기 후반 조선의 정치사회는 낡고 병든 보수적 정치세력인 勳舊派를 청산하고 새로운 도덕과 사회질서의 확립을 요구하는 변혁의 시기였다. 이 같은 현실에서 탁영은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절개와 士林의 도덕관으로 새로운 정치사회의 질서구현을 위한 선봉자적 역할을 자임하였다. 그는 당대 최고의 인재였다. 유교적 家風 속에서 김종직의 학맥을 계승하였으며, 의리(義理)와 명분(名分)을 강조하는 역사의식의 소유자로 성장하였고, 또 벼슬길에 들어서서는 10여 년간 언관직(言官職)과 시종직(侍從職)을 두루 거치면서 정치 전반에 걸쳐 높은 안목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또한 정치의 요체를 안민(安民)에 두고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추구한 선비로서 항상 민중의 입장에서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그는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하여 국가의 정기를 회복하고 중흥(中興)의 길로 나아가기를 염원하였다. 비록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짧은 생애 속에서 남긴 탁영의 행적은 시대의 고민과 저항의식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으며, 그가 남긴 탁영금(濯纓琴)은 선비의 풍류를 상징하는 보물을 대표하고 있고, 참혹한 변고를 겪고 남아 있는 아주 적은 유저(遺著)만으로도 높은 문학적 평가를 받고 있다. 도동서원은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목천(木川)에 건립된 서원이다. 「탁영연보(濯纓年譜)」에 의하면, 탁영은 24세 되던 성종 18년(1487) 4월에 첫 번째 부인 우(禹)씨를 잃고, 2년 후인 성종 20년(1489) 7월에 호서(湖西) 목천에서 김미손(金尾孫)의 따님 예안 김씨를 두 번째 부인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로부터 인연이 되어 목천(지금의 천안)에 연고를 두게 되었으며, 성종 23년(1492) 작성산(鵲城山) 계곡에 있던 작은 별서(別墅) 인근에 죽림정사(竹林精舍)를 지었다고 한다. 다른 기록에 의하면 이곳에 서원이 서게 된 것은 한강 정구(鄭逑, 1543-1620)가 만년에 강사를 세우려고 터를 닦다가 ‘죽림(竹林)’이라는 석각(石刻)을 발견하고, ‘죽림정사(竹林精舍)’를 지은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처음부터 주자(朱子)를 제향하는 사우를 함께 세웠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차례로 탁영 김일손과 한강 정구를 배향하였으며, 인조 기축년에 이 지역 출신의 후천 황종해(黃宗海, 1579-1642)를 배향하였다. 현재 충청남도 천안시 북면과 병천면에 걸쳐 있는 은석산의 남동쪽 계곡에는 도동서원(道東書院)이 있었던 서원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처음에는 ‘개목’으로 불렸는데 인조 때 도동서원이 들어선 후 서원리가 됐다가 병천리에 편입되어 현재는 마을 이름으로만 남아 있다.


This is to learn about Takyoung Kim Il Son(1464-1498) and Dodong-Seowon which is for worshiping him, located in Mokcheon in Chungcheongdo. Besides, I shed new light on Takyoung as a great man who is admired and a symbol of scholar for the development of Cheonan. Moreover, I also wish that we could recover Dodong-Sewon which is now remained with only some vestiges so that it could be used for teaching young men a traditional moral justice.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Jeseon Dynasty cleared away the old and sick Hungupa, the conservative force, and went through the period of change for the new morals and public order. In this harsh realities, Takyoung kept his integrity and looked upon himself as a pioneer with is fidelity for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society order. He was a prominent men of the time. He succeeded Kim Jong Sik’s studies in Confucian atmosphere, and was grown as a man, who emphasized loyalty and justification, with historical consciousness. Also, he became a man of insight in overall politics through over 10 years of Ungansic and Sijongsic in government position. He, as a scholar seeking consistency of knowledge and behavior, tried to apprehend the society through the common people’s eyes and considered appeasing the people as a key of politics. In particular, He wished for the nation to recover sprit of nation and get forward to the revival through “Make the History Right”Even through he was excuted by Muosawha, he was a symbol and will of resist of the times despite his short life. Takyoungkum, which he was used to play, is a treasure to represent scholar’s taste for the arts and his posthumous works have been received high praise. Dodong-Seowon is built in the period of Injo of Joseon dynasty in Mokcheon, Chungcheongdo. According to Takyoungyeonbo, Takyoung, in his twenty four on April in 1487(18th years of Sungjong), had Mrs. Yean Kim, whose father is Kim Mi Son, as his second wife in Hoseo Mokcheon on July in 1489(20th years of Sungjong), Since then, he had lived in Mokcheon, and he built Jukriljungsa near the villa in the valley of Mountain Jakseong in 1492(23th years of Seongjong. According to the other record, the Seowon is built in this place and it was when Hangang Junggu prepared the ground for the school, found Jukrim, whichk is Seokgak, and built Jukrimjungsa. It is not sure if it was built with Sawu, religious rite for Jusa, in turn, it was used for worshipping Takyoung Kim Il Son and Hangang Junggu, and used for Hucheon Whangjonghae as well in Injo Kichuk. There is Seowon village, where the Dodong-Seowon was, in the southeastern valley of Mountain Ens대k in Bukmyeon and Byeongchenmyeon in Cheonan, Chungcheongnamdo. It was called “Gaemok” but after Dodong-Seowon was built in Injo period, it was changed to Seowonri, became just a part of byeonchenri, and only the name of village is remained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