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大學』에 인용된 『詩經』의 시들에 대해 集註와 小註를 중심으로 考察하고, 이 시들이 『大學』의 修己治人的 논리 구조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新民章에서는 修己治人의 典範이라 할 수 있는 文王을 찬양한 詩를 引用하여 ‘明明德’과, ‘新民’, ‘止於至善’의 三綱領이 자연스럽게 상호 연결되며 궁극적으로는 하나임을 言明하고 있다. 다음으로 止於至善章은 별도의 주장이 없이 모두 詩句만 인용해서 修己治人의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그 논리가 매우 정밀하며, 단계적으로 세밀하게 제시되어 있어 『大學』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중요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게 한다.  齊家⋅治國章은 세 편의 시를 연속적으로 인용하여 治國은 齊家를 전제로 함을 밝히고 있다. 敎化는 안에서 밖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니, 齊家가 修身에 달려 있고 治國이 齊家에 달려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治國⋅平天下章은 지도자의 絜矩之道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으며, 『大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章句로, 세 편의 『詩經』 詩를 인용하여 治國이 平天下의 전제가 됨을 비유적으로 밝히고 있다.  『大學』의 논리적 체계는 明明德의 문제가 가장 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결국 修身論으로 귀착된다. 또한 이 修身論은 明明德과 不可分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新民, 止於至善의 治人論과 하나로 맞물려 있다. 결국 『大學』에 인용된 『詩經』의 시들은 修己治人의 논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용되었으며, 몇몇 핵심적인 의미 강화가 필요한 章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인용시들이 『詩經』의 본의와 달리 斷章取義하여 인용되고 있다. 이들은 文王을 修己治人의 典範으로 보는 전통적 聖人觀을 계승하고 있는데, 朱子의 集註와 小註는 이런 목적들을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poems of 『Sigyeong(詩經)』 cited in 『Daehak(大學)』 focusing on Jipju(集註) and Soju(小註), and examined which role these poems are playing in the Sugichiin(修己治人)-based logical structure in 『Daehak』. First of all, the chapter of Shinmin(新民) is being declared that Samgangryeong(三鋼領) in Myeongmyeongdeok(明明德), Shinmin(新民), Jieojiseon(止於至善) is mutually connected naturally and is ultimately united by quoting a poem that praised King Mun who can be said to be Jeonbeom(典範) of Sugichiin(修己治人). Sequentially, the chapter of Jieojiseon(止於至善) is characterized by developing the logic of Sugichiin by citing just a poetic line in all without a special argument. By the way, its logic is proposed very precisely, gradually and minutely, thereby making it available for guessing that the status of possessing in 『Daehak(大學)』 is very important.  The chapter of Jega(齊家)⋅Chiguk(治國) is being clarified that Chiguk(治國) is having a premise as Jega(齊家) by consecutively citing three poems. There is an emphasis on which Jega(齊家) relies upon Sushin(修身) and on which Chiguk(治國) depends on Jega(齊家) because enlightenment proceeds with being expanded into the outside from the inside. The chapter of Chiguk(治國)⋅Pyeongcheonha(平天下) is being mentioned in detail on a leader’s Hyeolgujido(絜矩之道). As a very big Janggu(章句, Chapters and Sentences) of possessing in 『Daehak(大學)』, it is figuratively clarifying that Chiguk(治國) becomes a premise of Pyeongcheonha(平天下) by quoting three poems of Sigyeong(詩經).  A logical system in 『Daehak(大學)』 is being most founded a problem of Myeongmyeongdeok(明明德). This results in Sushinron(修身論). Also, this Sushinron(修身論) is united to be interlinked with Chiinron(治人論) in Shinmin(新民) and Jieojiseon(止於至善) that have an inseparable relation to Myeongmyeongdeok(明明德). Ultimately, the poems in Sigyeong(詩經) quoted in Daehak(大學) were cited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the point of Sugichiin(修己治人). It is concentrated on the chapter that requires the reinforcement of a few core meanings. In addition, most of the cited poems were quoted on the basis of Danjangchwiui(斷章取義)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in Sigyeong(詩經). It is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saint notion[聖人觀], which regards King Mun as Jeonbeom(典範) of Sugichiin(修己治人). Zhi Zi’s Jipju(集註) and Soju(小註) is what is analyzing or describing its meaning by intensively highlighting these obj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