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문’은 문화적 존재인 우리를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이며, 한문교육은 그러한 핵심적 요소를 확인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그런데 현실 한문교육에 있어서 한문교육 내용과 범위가 문제가 된다. 동아시아에서 한문문화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볼 때,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여러 민족은 한문을 활용함으로써 동아시아 공동의 한문규범을 성립시켰고, 또 그 규범을 강화, 변용하여 독자적이고 다양한 규범으로 확대하였다. 근대에 들어 동아시아 각국은 한문에서 ‘국문’으로 공용어를 바꾸었지만, 현재의 ‘국어(문)’ 속에도 한문의 정신과 기능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전개과정을 참조할 때, 한문교육은 한문공동의 규범성을 부각하는 교육, 자국적 전통의 이질성을 부각하는 교육, 현행 ‘국어’ 속에 전승, 활용되고 있는 부분을 강화하는 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점에 유의하여 동아시아 각국의 ‘한문’교육과정을 검토하면, 한국의 경우, 한글전용정책의 시행으로 한문 교과의 정체성 문제가 부각되고 있고, 중국과 일본의 경우, ‘한문’ 교육에서 자민족중심주의적 성향을 강화하고 있는 특징이 나타난다. 동아시아 각국이 ‘국수적 민족주의’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한문의 공동문어적 성격과 자국어적 성격이 모두 부각되는 방향에서 한문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과이면서 동시에 독립교과인 한문과의 지위를 제도적으로 마련하면서 동시에 내용적으로 동아시아 공동규범과 개별 민족적 규범이 어우러지는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Classical Chinese is a core element that constitutes us - cultural being,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he activity that makes us identify and use the element.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Nations in East-Asia brought East Asian common norms of classical Chinese culture into existence by using classical Chinese and expanded the common norms to their own norms by strengthening and transformation of them for Middle Age. Although the official written language changed over from the classical Chinese to national written languages in each country in East Asia, the spirit and function of classical Chinese has still continued on without ceasing in each national language. So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are three things ; education to highlight East Asian common norms in classical Chinese culture, education to highlight each nation’s unique norms in the classical Chinese culture, and education to highlight the spirit and function of classical Chinese that still has continued on in each nation’s nation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ust be conducted in direction of emphasis on East common norms as well as on each nation’s unique norms for overcoming ultra-nationalism in 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