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의 시민주도 모니터링의 필요성, 습지보호지역 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매뉴얼 개발과 개선 방안에 대한 것이다. 시민모니터링의 주체는 시민이다. 따라서 습지환경 시민모니터링은 시민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정점 선정은 장기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퇴적환경, 저서생물, 염생식물은 고정 방형구를 설치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시민모니터링 매뉴얼 개발은 현장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항목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야 한다. 첫째, 퇴적 및 해양환경 모니터링은 퇴적물의 종류, 퇴적률, 패각 함량 등과, 악취, 오염물질량과 종류 등의 해양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둘째, 저서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 내의 보호대상해양생물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하며, 간접적으로 저서생물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식굴 조사를 병행하여야 한다. 셋째, 염생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대표적 군락을 대상으로 식생의 개체수, 피도, 성장 등을 조사하며, 주위의 생물상을 정성적으로 병행하여야 한다. 넷째, 물새류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보호종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한다. 특히 겨울철 흑두루미의 서식처인 순천만의 경우에는 일별, 주간별 모니터링이 필요하기도 하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의 체계적 정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니터링 기간은 최소 계절별 조사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모니터링 조사기관 및 조사자의 연속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 및 시민 단체들에 속한 모니터링 요원의 선정과 체계적 모니터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취지에 맞는 지속가능한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다섯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매뉴얼은 시대의 상황과 시민들의 교육 수준에 따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monitoring manual suitable for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It also covers the necessity for citizen leaded monitoring in this area. Citizen monitoring can only be maintained by the citizens themselves. Thus, citizen monitoring manual must be developed so that the locals can carry it out by themselves. Station selection for citizen monitoring on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must be conducted for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quadrate operation for benthos and halophytes with respect to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Observations from the fields conducted for the manual construction suggest the followings. At first, in terms of sedimentary and marine environment, sediment type, sedimentation rate, shell content, stench, and type and content of contamination matt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ly, items that include marine organisms under protection and their dominate species, investigate dormitory burrows which can check benthic individuals. Thirdly, halophyte monitoring must survey vegetation individuals, coverage, growth, and running parallel biota around above wetland. Lastly, waterfowls must be investigated in protected and dominate speci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ncheon bay, hooded crane (Grus monacha) must be monitored daily and weekly. Suggestions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operation on the abov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are as follows. Firstly, monitoring term must be carried out at least every season. Secondly, the monitoring institutes and searchers are continuous. Thirdly, appropriate choice of monitoring searchers in locals and civic organizations is necessary. Additionally, systematic monitoring training should be required for chosen searchers. Fourthly, a continuous monitor『of citizen, by citizen, and for citizen』is adequate to protect the wetland. Lastly, the monitoring manual on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requests modification and supplement in accordance with current paradigm and the education level of citiz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