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social workers’phenomenological experiences with battered women, including their struggles and needs for building and maintaining an empathic identification with their battered women clients. Twel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cial workers who have provided services in the domestic violence field over the last two years. They identified their clients prejudices and unfamiliarity with counseling and social work profession in Korea as related to battered women clients’initial resistance to social workers' empathic engagement. The nature of victimization between intimate partners (i.e., emotional bounds, continuing risks of victimization) requires workers’enormous energy to maintain their need for an empathic identification with their clients. Social work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linical supervision and supportive networks that enable them to maintain their professional energy and commitment as an empathic 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이입에 관한 임상적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이 현장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감정이입 욕구와 갈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상담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클라이언트들의 선입견과 낯설음이 초기관계에서 그들이 시도하는 감정이입노력에 저항하는 요인들로 경험하고 있으며, 둘째, 친밀한 배우자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 피해의 특성들(쉽게 단절될 수 없는 폭력 위기와 정서적 유대감의 공존 등)로 인해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감정이입을 계속 유지하는데 매우 큰 의지와 에너지를 소진하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따라서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이입능력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투신과 에너지를 지지해줄 수 있는 대안들(임상슈퍼비젼과 전문적 지지망 등)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