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로 시부모들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시부모들과 외국출신 며느리들과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는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으로 접근했으며 6명의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과 문서기록 수집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분석 결과 83개의 의미단위 22개의 범주 그리고 9개의 해석학적 주제를 구성했으며 해석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들은 해석학적 주제와 연구내용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 가정 시부모들과 며느리들의 문화접변 과정을 ① 자기의 영역 고수하기 → ② 전략적 수용 → ③ 상호이해에 기초한 공존의 그늘 만들기 → ④ 자기의 해체와 재구성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다문화 가족의 가족 안정성과 관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으로「문화 유능성 강화를 위한 시부모⋅며느리 연계 프로그램」을 제언했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teraction of multiculture parents in law between. daughter in law. We approached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and six of multiculture family`s parent`s in law participated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depth interview and various written records and we could construct 9 hermeutical theme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83 meaning units, 22 categories. We descripted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between parent`s in law and daughter in law. The result as follows : ① sticking self dimensions → ② strategic acceptomce → ③making shade of co-existence → ④ self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Finally we proposed the 「joint program of parent`s in law and daughter in law for reinforcing culture un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