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직장여성의 자녀 출산계획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양성평등이론에근거하여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는 제2차 여성가족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여성가족패널자료의 조사대상자 중 20-40대 기혼 직장여성 116명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모수추정치를 분석한 결과, 성역할태도와 결혼행복감 및 출산계획 그리고 일-가족 양립갈등과 출산계획 간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아 최종수정모형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과 성역할태도와의 관계에 대해 일-가족 양립 갈등 및 결혼행복감의 변수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을 지원하기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 실질적인 일가족양립제도의 활성화, 전통주의적 성역할 구조변화를 위한 서비스, 일가족양립갈등의 해소를 위한 서비스 현실화,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birthplan of the married working woman based on the gender equity theory by using a path analysi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second Woman-family-panel survey data and selected the 116 married working women aged 20-40 among the survey o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parameter estimate, the path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marital happiness & birth plan and between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birth plan wasn't significant, thereby having been excluded from the final modified model. As the results,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marriage satisfaction have intermediation effect related with birthplan and gender role attitude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Suggesting the policy direction for supporting birth of the married working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proposals such as activation of substantial work-family reconciliation system, as realization of the service for changing traditional gender-role structure and the service for solving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as formation of family friendly culture in the work 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