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의 자녀학대 및 방임의 위험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빈도분석과 포아송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등의 가해 비율은 남한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보호자의 나이는 신체학대와 방임, 장기간의 남한 거주는 중한 신체학대, 낮은 가구 소득은 정서학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호자의 우울은 중한 신체학대와 방임의 위험요인이었으나, 보호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넷째, 보호자의 사회적 스트레스는 정서학대와 경미한 신체학대의 위험요인이었다. 다섯째, 보호자의 성장기 학대피해 경험은 모든 유형의 자녀 학대의 위험요인이었으며, 이는 폭력의 세대전이 이론을 지지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학대예방교육이 남한 이주 초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우울에 대한 개입을 위해서 정신건강 서비스의 확대 및 연계가 필요하며, 나아가 자녀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해서 북한이탈주민의 궁극적인 자립 및 정착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child maltreatment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nd suggest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s methods, a self-report surveys are completed by 158 North Korean refugees who care children under 18 years old, descriptive analysis and Poisson regression are conducted. As results, (1)the rate of child maltreatment among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is higher than South Korean families, (2)respondents' ag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physical abuse and neglect, period of living in South Korea is positively related to severe physical assault, low incom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abuse, (3)depression is related to severe physical abuse and neglect; however PTSD is not related to any types of child maltreatment, (4)life stress positively affects psychological abuse and minor physical assault, and (5)the maltreated experience of care giver is related to every types of child maltreatment which supports "the cycle of violence" theor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 for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to North Korean refugees as they immigrate. Second, case management services are in need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cope with their life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in South Korea. Third, m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expanded and the accessibility also should be ea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