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웃관계가 냉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동네의 빈곤상태가 그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이웃관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context)으로서 기능하고 있지는 않은지, 그렇다면 효과가 어떠한 방향성과 기제로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2010)에서 포괄하는 680개 읍·면·동 및 16,557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2수준 다층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주로 동네빈곤과 이웃관계의 부적관계를 상정하는 사회해체이론의 예측과는 달리 소속동네가 빈곤할수록 주민들의 이웃관계가 긍정적으로 보고되었으며, 동네수준 거주안정성의 증가가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부분 혹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를 토대로 주민조직화사업, 동네재생사업 등 이웃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개입의 지점들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neighborhood poverty functions as a context of residents’ neighborship in our society where neighborship has been chilled recently. So it deals with the directivity and mechanism of contextual effect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2-level multi-mediation analysis was done with 680 neighborhoods and 16,557 individuals in the data called ‘Korean Crime Victim Survey(2010).’ The study results tell us that the poorer the neighborhood, the higher the degree of neighborship, which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according to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lso the increase of neighborhood-level residential stability was fully or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rhood poverty and neighborshi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ints of the effective interventions improving neighborship, such as community organizing and community renewal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