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대상 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통합분석하여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청소년 대상의 우울 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를 검증하고, 조절변인에 따라 효과크기가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분석논문은 72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실시된 아동청소년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결과변수로 활용한 우울, 불안,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모두 중간이상의 강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아동・청소년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는 불안의 경우에는 연구간 효과크기가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의 경우의 연구간 효과크기가 동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예방 프로그램의 조절변인으로 설정한 성별 구성, 대상 연령, 예방활동 종류, 프로그램 내용, 집단크기, 프로그램 개입회기, 1회기당 진행시간의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집단의 성별구성은 자살생각의 경우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에서의 평균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연령은 자살생각의 효과크기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예방활동의 종류는 우울과 자살생각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선택적 예방활동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반면 자아존중감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프로그램 내용은 자아존중감의 효과크기에만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현실치료, 인지행동치료, 예술치료, 게슈탈트 치료의 평균효과 크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집단크기는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에 조절효과가 없었다. (5)개입회기는 우울에만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개입회기가 10회기 이상일수록 평균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기당 진행시간이 60분 이상일수록 평균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integrate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and to suggest practical basis developing more effective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estimated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depressive symptoms prevention programs an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size across the moderators. Published articles an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and synthesized with meta-analysis. All 72 studies that met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software was used for meta-analysis.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alculating the average effect size across all studies, the averag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used as outcome variables of depressive symptoms prevention programs were moderate. Second, the effect size of anxiety was heterogenous across studies, whereas the effect size of depressive symptoms,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was not homogenous across studies. The results of moderator analysis are as follow. (1) Only participant age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anxiety. (2) Type of prevention progra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thought, and selective prevention programs were most effective. (3) Contents of prevention program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just only at the self-esteem. At the effect size, reality therapy was most effective, followed by cognitive behavioral contents, art activation contents using arts(music, meditation, reading) and gestalt therapy. (4) Group size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 suicide thought and self-esteem. (5) Intervention duration was a significant moderator of effect size at the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 size of the longer intervention programs 10 session the length of a s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rograms more than 60minutes per one session produced stronger effect sizes, meanwhile wa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