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종사원의 조직응집력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은, 외식업체 집단의 구성원이 조직 상호 간의 친밀감과 일체감이 목표달성을 위해 얼마나 협조적인 태도를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고, 조직 내 응집력이 강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외식업체 조직 내의 몰입에 있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봄으로써 집단응집력이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변수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외식업체 중 가장 많은 매출과 점유율을 보이는 CJ프레시웨이, LG아워홈, 신세계 푸드, 삼성에버랜드, 아라코, 현대푸드시스템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외식업체 종사원의 모집단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360부 중 272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원 성장, 공동체 형성, 비전 제시, 책임자 의식이 집단응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업체 기업 종사원들은 자신의 성장욕구를 만족시켜주며, 자발적인 헌신과 참여를 이끌어 주고,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고취 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서번트 리더십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신뢰의 관점이나 조직유효성을 언급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 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집단응집력에 의해 외식업체 기업 종사원들의 내부반응을 매개로 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둘째, 집단응집력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집력이 높은 그룹 종사자들은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 받게 되어 보다 참여적이고, 집단의 목표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과업성취를 위한 참여의지가 높다고 설명한다. 즉, 외식업체 기업은 과거의 경영조직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종사원들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적으며, 직급체계가 복잡하나 매니저의 리더십, 매니저와의 동료애, 그리고 집단적인 동질감이 조직분위기를 좌우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몰입이 높은 종사자들은 조직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려는 의지를 보이며,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게 된다. 즉, 보상과 벌에 의한 리더십은 더 이상 종사원에게 조직이 원하는 태도로 행동을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으로 결국 외식업체 기업 종사원은 리더가 솔선수범하여 모범을 보이고, 신뢰와 기대감을 안겨 줄 때 종사원과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높이는 상호의견교환관계를 유지하며, 리더로서 기업의 조직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구성원 성장’, ‘공동체 형성’, ‘비전 제시’, ‘책임자의식’ 등의 서번트 리더십 요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번트 리더십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종사원들의 집단응집력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종사원 관점에서의 서번트 리더십 관리가 내부마케팅 차원에서 종사원들의 조직몰입에 중요한 근거자료가 된다는 사실을 언급하였고, 일부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group cohe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odservice employees. Data were collected from foodservice companies such as CJ Freshway, LG Our Home, Shinsegae Food, Samsung Everland, Ahrako, Hyundai food system which were located in Seoul. Out of 3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 272 were finally analyzed for the tes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ervant leadership was reveal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gives companies catering company gives their employees meet their growing needs, led to a voluntary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it helps to promote a sense of ownership and responsibility. Second, cohes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This group of workers are highly cohesive and participatory than to receive a positive experience, and actively accept the goals of the group's commitment to the task of explaining the high achievement. Third, cohesiveness ha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odservice employees with higher cohesiveness are expected to have higher intimacy and unity, so that the enhanced commitment is contributive for task accomplishment. In conclusion, servant leadership is expected to enhance the general task accomplishme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ervant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oodservice companie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