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중국의 문학, 예술 개념의 관념을 형성하는데 위력을 발휘하고 있던 전통적 ‘文’의 역할을 재탐색하고, 이에 따른 전통적 문화의식의 영향이 문학예술의 방면에서 근대 중국의 근대성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담론을 구축해나갔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거하여 당시 남사(南社) 계열의 문인으로 화가로서 천부적인 재능을 지녔으며, 서구 문학을 번역하여 소개한 개척자의 한 사람이며, 현대적 소설의 선구적 작가의 한 사람인 소만수(蘇曼殊)를 통해 근대시기 변혁기를 살아가는 중국지식인의 사유적 기반을 천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탐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이들 문사들은 자신들이 훈련받은 전통적 학문을 토대를 매우 적극적으로 근대적 학문과 사상과 습합하려는 노력을 견지하였다는 점이다. 일례로 소만수의 화제를 살펴보면 소만수의 그림과 연관된 문사들의 의식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에게는 우국충정의 전통적 사대부의 이상이 어김없이 표현되고 있다. 그들은 중국화가 담고 있는 관습적 장치를 통해서도 자신들의 지향점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려 하였다. 소만수 그림의 화제에 인용된 화제시(畫題詩)의 대개가 이민족의 침입으로 멸망해 가는 왕조의 비극을 담은 내용들이 주를 이룬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의 소설 『단홍영안기斷鴻零雁記』 또한 이러한 징후를 찾아 볼 수 있다.


Cultural modernity cannot be introduced to a country solely based on western knowledge and culture. Although a lot of these aspects can be described as records of battles against protecting a country’s uniqueness from foreignness, there are no significant research on this topic yet. Thu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probability between the comprehensive knowledge of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Chinese traditional writers led to the creation of modern literature. SuManshu(蘇曼殊) was a Chinese writer who had exceptional skills in Chinese traditional studies. He was actively involved in opening up to the western style of learning. He became a Buddhist monk early in his age. He showed great talents in literary paintings which are depicted well in the pictorial aspects of his novels. Creative activities such as the translations of western literary works and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or the creation of new novels also show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modernity of the writers during the period. Consequently, the holistic percep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and the extension of epics can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his novel Duanhonglingyanji and painting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