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장애를 가진 6학년 남아와 연령, 성별, 지능 면에서 짝지워진 일반 아동이 단어 및 비단어의 묵독과제 수행 중에 보이는 뇌활성화 양상을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하는데 있다. 단어 과제의 목록은 친숙도가 높은 2음절 단어를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작성하였으며, 비단어 과제의 목록은 단어과제 목록에 사용한 단어의 첫째 음절과 둘째 음절의 초성을 변형시켜 만들었다. 단어 읽기 과제 시 일반 아동의 경우에는 주로 좌반구 중측두엽이 가장 활성화된 반면, 읽기장애 아동은 시각 경로라고 알려진 좌우 반구의 하후두회와 방추상회가 주로 많이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비단어 읽기 과제시 일반 아동의 경우에는 좌반구의 하측두회와 중전두회와 우반구의 상전두회와 중심전회가 많이 활성화된 반면에, 읽기 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단어 읽기에서와 비슷하게 좌우반구의 배측 시각 경로인 lingual 영역이 많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장애 아동이 단어 읽기를 할 때 언어적 지식에 기초하여 분석적 단어 재인 전략을 사용하지 않고 시각적 처리를 통해 기억에 의존해서 통문자로 단어 읽기를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아동의 경우 비단어를 읽을 때는 음운처리에 기초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rain activation profiles of a 6th grader boy with reading difficulties(RD) to those of an age-, gender-, and IQ-matched normal control in 2 silent reading tasks using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 word reading task, stimuli consisted of two syllable words with high familiarity whereas in a pseudo-word reading task, stimuli were made up by changing the first or the second syllable of the same words that were used in a word reading task. A child with RD showe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right middle cingulum, the left and right inferior occipital gyri and the left fusiform gyrus during a word reading task, areas normally involved in visual processing. In contrast, a normal control showed profiles featuring increased activation of the middle temporal pole, the postcentral gyrus, and the middle temporal gyrus on the left hemisphere. In a pseudo-word reading task, a child with RD showe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linguals and the right middle orbitofrontal gyrus whereas a normal control displaye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heschl, the inferior temporal gyrus, the Rolandic operculum, the middle frontal gyrus, the middle cingulum on the left hemisphere and the precentral gyrus and the superior frontal gyrus on the right hemisphe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word reading in a child with RD might be based on memories of visual properties of words and that a pseudo-word reading in a normal child might be based on phonological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