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술치료교육 프로그램이 미세뇌기능장애아의 시지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아동은 출생 시에 신생아패혈증으로 진단되었고, MRI상으로는 이상 진단이 없었으나 발달지체와 사시를 포함한 시지각적 장애, 협응 운동기능의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하여 Frostig의 시지각 발달검사(DTVP)와 동적가족화(KFD)에 뚜렷한 지체가 있었다.미술치료교육의 효과는 시지각 발달검사(DTVP)를 1차, 2차, 3차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양적분석을 하였고,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동적가족화(KFD)의 변화와 치료진행 과정의 각 단계에서 치료과업과 목적에 따른 아동의 수행 특징과 변화를 기술함으로써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술치료교육이 시지각 영역 중 시각-운동 협응과 지각의 항상성 점수의 증가에 효과가 있었으며, 공간 위치 지각 점수의 증가에도 효과가 있었다. 반면, 도형-소지 변별과 공간관계 지각 점수의 증가에는 효과가 적거나 없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지각지수(PQ)가 37점 증가하여 시지각 기능수준이 백분위 1-2%에서 사후에는 58%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동적가족화에서는 인물을 묘사하지 못하고 위축되어있던 자아상으로부터 점차 또래나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려 하고 스스로 새로운 과제를 반복하면서 성취하려는 욕구를 보이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시지각 발달검사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치료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만큼 이를 기초로 하여 향후에 다양한 평가기준과 미술치료교육프로그램이 연구되고 개발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Education (ATE) to the Visual Function of a child who had Minimal Brain Dysfunction(MBD). The program of Art Therapy Education(ATE) was grounded by the Gestalt Psychology's Organizational Rules. Therefore it was selected the applicable art media and education method to meet the level of the her visual function. After applying ATE program, the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DTVP) and Kinetic Family Drawing(KFD) were retested. As results, it were found that the domains of VM(visual-motor coordination), PC(perceptual constancy) and PS(position in space) and KFD(Kinetic Family Drawing) were effectively advanced through ATE. While the domains of FG(figure-ground perception) and SR(spatial relation)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ATE was effective for the visual function of the child, especially VM, PC and PR.This study was single case that it could be difficulty to generalize the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assessment method and multiple Art-Therapy-Education programs for MBD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hope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