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각장애교육 전문가들은 선천적으로 실명한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이해 능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중점 관심사는 아동이 시각장애로 인하여 마음의 이론 발달에서 어려움을 겪는지와 이 능력 발달과 관련이 있는 변인을 알아내는 것이었다. 분석은 시각장애아동들의 사회적인 상황에서 자신 및 다른 사람의 정신 상태에 대한 개념발달이 정상발달 아동들과 비교하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의 이론 발달과 관련 있다고 언급된 배경변인 즉 연령증가, 시력정도, 언어성 지능과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마음의 이론 발달의 주요시기인 전조작기에서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4세에서 12세까지의 선천적으로 실명한 아동들이었다. 마음의 이론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망수용과제와 함께 위치변경과제와 비정상적인 내용물 제시 과제로 구성된 거짓믿음과제가 실시되었다. 결과로 연구대상들은 정상발달 아동들에 비해 느리나 마음의 이론 발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정도와 언어성 지능에 따른 시각장애아동들의 마음의 이론 과제 수행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경험기간에 따른 수행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의 마음의 이론 발달 및 사회적인 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사회성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ged 4-12. Subjects were 48 students who are study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levels in 3 schools for the blind in OOO district in South Korea.All subjects were individually tested on a battery of two perspective-taking tasks and four false-belief tests including changed location tasks and misleading appearance tests. The battery was designed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that is, central aspect of social understanding. The subjects were given the K-WPPSI or K-WISC-III to determine their verbal intelligence. While increasing age significantly predicted gains in three kinds of tasks,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between two ag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children with blindness and those with low vision. The subjects' level of visual impairment and verbal intelligence do no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perspective taking and understanding false belief.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sk performance scores among three educational experience groups. Educational background is likely to account for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the congenitally visually impaire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exact nature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s difficulties and other abnormal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pretend pla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nd use. It would be very useful to seek qualitative information on visual and social experiences of the visually im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