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교사요구 및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교사의 요구를 밝힘으로서 통합교육 실천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및 경상남도 소재 특수학급 설치 중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학급 교사(N=52)로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반응은 SPSS WIN 10.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 별 반응에 대하여 기초통계량(빈도, %, 순위, 평균 등)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을 바탕으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재학생의 경우 대부분 정신지체 및 학습장애 학생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기초학력 수준은 초등 저학년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중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요구학생의 학력수준과 생활연령을 고려한 교과영역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적합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운영지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과교육과정 운영 실태조사 결과, 언어 및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지도하고 있었으며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의 운영은 전문적 지식 및 제반 시설의 부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학생의 요구와 통합지원에 적합한 교과교육과정 운영 및 치료 및 직업교육과 관련한 행재정적 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교육 및 장애이해교육 등은 절반 이상의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일상생활지도, 부적응 행동치료, 장애이해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나타남으로써 장애학생의 통합준비, 치료교육에 대한 요구,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통합교육의 기반 조성이 현시점에서 가장 요구되는 사안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iculum management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room. For this study, I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to special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r reformation of various aspects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in the curriculum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ion must be provided by government. Second, realistic support of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 and transitional program is provided to special class students attending secondary school. Third, reconstruction and innovation of regular curriculum is required. Forth, it should be prepared communication system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inclusive teacher. Fifth, it should be practiced disability-awareness program to non-disabled stu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