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교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문제행동 중재방법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설문지를 통해 서울, 경기지역 초등교사 362명이 어떠한 문제행동 중재방법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그러한 방법들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중재방법들을 개발하는데 어떠한 자원들을 주로 활용하는지에 대해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사용이 쉽고 편리한 중재방법들의 사용을 선호하는 반면, 문제행동 지도에 있어 학부모 참여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 체벌과 같은 처벌적 중재방안보다는 토큰경제, 개별상담과 같은 교육적 중재방법들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행동 중재방법 개발을 위한 활용자원으로 교사들은 개인적 경험이나 다른 사람의 조언과 같은 주관적 정보에 의존하는 데 반해 학술지, 책 등의 객관적 자료는 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변인들로는 성별, 교육경력, 문제행동중재 관련 연수 이수여부가 문제행동 중재방법의 사용빈도 및 효용성에 관한 교사인식과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ee hundred sixty two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effectiveness of 21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that they used and what resources they utilized in order to develop these interven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preferred to employ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hich could be used easily and tended to avoid parents' supports on intervening challenging behaviors. While teachers considered punitive interventions such as spanking less effective, they perceived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h as token economy and counseling to be more effective.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of challenging behaviors,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depend on subjective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experiences and other persons' advice than objective data such as articles, books and research studies. Three teacher variable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existence of in-service training about problem behavior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