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관련 연구 162편 중 실험연구 및 메타분석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는 30편을 선정하여 자아개념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크기를 Hedges’g 값 및 랜덤모형과 고정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과크기의 표본 수는 75세트였으며, 각 효과크기는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랜덤모형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796으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 학습장애 학생을 위해 실시되는 자아개념 프로그램들이 실제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유형, 연구 참여자의 학교급 및 학교유형, 자아개념 측정도구, 측정도구의 하위영역, 연구설계방법 및 실험기간 등 범주형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역시 .8 이상의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자아개념이 낮다고 보고되고 있는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와 프로그램 실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about program to improve self-concept, includ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y Meta-analysis. 75 cases from 30 studies on self-concept was extracted and conducted to examine effect size(Hedges’g) based on Random model.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was 1.796, very positive and effective. The results from analysis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activity-centered program was higher than that of academy-centered program. Second, the effect size of self-concept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effect size of program in regular class was higer than in special class. Fourth, the effect size of program by self-esteem measurment was higher than by self-concept measurement. Fifth, the effect size of personal section of self-concept’s subcategories was higher than academic section of those. Sixth, the effect size of true experimental design program was higher than quasi-experimental design program. Seventh, the effect size by program period was not clearly different.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suggested more studies on self-concep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uld be accumulated to generalize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