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효과를 검증한 국내 실험연구 59편을 분석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전략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결과 첫째, 분석논문은 2001년부터 증가하여 2006, 2007년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으로 단일대상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다소 편중된 현상을 보였다. 셋째, 연구의 질적 수준은 단인대상연구의 경우, 실험조건의 평균 반복수가 2.9회였고, 유지와 신뢰도 측정은 비교적 충실한 편이나 일반화,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측정은 부족하였다. 집단연구의 경우, 종속변인 측정 도구 유형의 상당수가 비표준화 검사 도구였으나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이 다소 미비하였고, 중재의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부재하였다. 다음으로, 중재전략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함께 중재대상으로 선정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통합학급 교실, 놀이상황, 개별보다 또래집단상황에서 주로 실시되었다. 중재자는 연구자나 통합학급의 일반교사가, 중재기간은 1개월 이상~3개월 미만, 중재회기 당 소요시간은 20분 이하인 연구가 많았다. 둘째, 주요 중재전략으로 사회적 통합 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학급대상중재, 자연적 중재, 직접교수 등과 큰 차이 없이 고루 사용되고 있었고, 부분적 효과를 검증한 네 편의 연구를 포함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종속변인의 내용은 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관련 능력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중재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59 experimental analysis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promoting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and their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evaluated to shed light on significant trends. The first, resul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such analyses increased from 2001, with 2006 and 2007 the most active years. Second, the studies showed a degree of bias towards use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Third, in terms of research quality in cases where single-subject design was employed, the average number of repetitions of experimental conditions was 2.9; measurements for maintenance and reliability were relatively sound or generalized; and those for social validity were insufficient. In the case of group studies, many of the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tool types were non-normalized testing tools,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s somewhat incomplete, while studie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were almost non-existent. The next, the study analyzed trends in intervention strategies. First, many studies conducted interventions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together, mainly in peer-group rather than in individual situations and in play settings of integrated classes including both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level children. Most moderators were researchers 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with intervention duration lasting over 1 month but less than 3 months, and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20 minutes or less. Second,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mainly focused on social integration activities, with class-targeted intervention, naturalistic intervention, direct teaching, etc. all used evenly without discrepancy, and interventions in all studies, including four which included partial verifications, were duly analyzed. Third, dependent variable content mainly looked at the social and communication-related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directions for intervention studies promoting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