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이 중재 특성상 국내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인 및 학급차원의 SDLMI 적용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수업참여행동 및 목표달성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통합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ㆍ경기지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50명(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25명), 특수교사 27명, 일반교사 49명이 참여하였다. 개인 및 학급차원에서의 SDLMI 적용을 위해 실험집단의 특수교사에게는 사전 연수 및 기타 교수적 지원이 제공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 및 교사에게는 관련 종속변인들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중재 전후에 각각 실시되었다. 두 집단 간 사전ㆍ사후검사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 및 학급차원의 SDLMI 적용은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및 수업참여행동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업 및 전환 관련 목표달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실험집단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도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act of individual and class -wide application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SDLMI) on self-determinati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and goal-attain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the impact on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Fifty students with disabilities(2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49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acher training was provid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interven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s were also given for the teachers during intervention. Pre- and post-tests of relevant dependent variabl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analyses of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in both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 and class-wide application of SDLMI had positive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and goal-attainm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 Based on this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related to SDLMI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