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또래도우미 활동의 참여에 대한 자발성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장애학생 3명과 그 장애학생이속한 3개의 통합학급 일반학생 각 16명씩을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으로 하여 총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측정을 위해 안승숙(2002)의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또래도우미 활동은 장혜영(2011)이 사용한 것을 본연구의 대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는 사전준비-사전검사-또래도우미 활동적용-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21.0을 이용하여 ttest,공변량분석(ANCOVA)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변화에 또래도우미활동 참여 자발성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또래도우미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하위영역별 장애학생 수용태도에서는 교제영역과 학습영역에서 또래도우미 활동 참여 자발성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미한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또래도우미 참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생활영역에서는 각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또래도우미 활동은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또래도우미 활동참여 자발성의 유무는 참여자의 선정기준에 고려되어야할 요소가 아님을 밝혔고 통합교육을위해서는 학교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고 노력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oluntary participationin peer supporter activities on the accommodate attitude of children with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8 students, 3 elementary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usan and 16 normal students in thethree integrated classes that the above disabled students were included and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group 2, and control group. To measure normal students’ accommodate attitudetoward disabled students, the questionnaire of Ahn Seungsuk(2002) wasmodified to use and peer supporter activities that Jang Hyeyoung(2011) hadused were corrected to use for this study. The research was made up ofpreparation-pretest-applying peer supporter activity-post test in order. The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for window 21.0 program witht-test, ANC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meaningfuldifferences in the change of accommodate attitude of disabled studentsamong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participate in peer supporteractivities voluntarily or not, whil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participation group in peer supporter activities and control group. Second,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ssociation area and learning area, subarea of disabled students’ accommodation attitudes, among groups accordingto whether they participate in peer supporter activities voluntarily or not, while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tion group in peer supporteractivities and control group and no differences in living area among group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peer supporter activities have positiveeffects on normal students’ accommodate attitude and whether they participatein peer supporter activities voluntarily or not should not be considered forselection standard. Also, all members of the school need to try and participatefor the integra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