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광역거버넌스의 역할에 대해 캘리포니아의 상원법375(SB375)을 사례로 논하였다. 한국의 경우 국가전체의 온실가스 감소의 목표와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지만, 실제적 실행에 있어서 각 지역과 지방정부가 감당해야 할 구체적 방안과 평가의 기준이 미비한 실정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사례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량 목표 설정과정에서의 광역행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캘리포니아 주의 상원법 375 (SB375)는 기후변화를 위해 각 광역지역별 구체적 기획, 평가, 실행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광역계획기관(MPO)가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광역계획기관은 SB375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량을 정하는 캘리포니아 대기 관리국(CARB)의 하향식 접근에 협력하고, 이해관계자 및 지방정부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목표량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참여적 상향식 광역거버넌스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앙정부 중심의 규제를 통한 관리보다는 상향적 지역사회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향후 온실가스 감소를 위한 지방정부간 협력체계와 관련되어 사용 가능한 과정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버넌스, 기후변화, 광역계획기관, 규제개혁, 캘리포니아Policy and administrative means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were examined in terms of collaboration and management. With the case of Senate Bill 375 in California, the newly introduced plann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to achieve the regional GHG emissions target under the California policy and planning framework. 18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s (MPOs) in California participate in Regional Targets Advisory Committee (RTAC) under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ARB). This regional governance is a bottom-up process with technical forecast and regional allocation. and incentive based environmental policy process and governance to decide target emissions. It gives some implications to compare newly implemented Korean climate change policy.


Policy and administrative means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were examined in terms of collaboration and management. With the case of Senate Bill 375 in California, the newly introduced plann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to achieve the regional GHG emissions target under the California policy and planning framework. 18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s (MPOs) in California participate in Regional Targets Advisory Committee (RTAC) under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ARB). This regional governance is a bottom-up process with technical forecast and regional allocation. and incentive based environmental policy process and governance to decide target emissions. It gives some implications to compare newly implemented Korean climate change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