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기도 하남에 위치한 천왕사지는 목탑지가 남아있는 대형의 평지 절터로 지금까지 창건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지난 2000․2001년에 천왕사지에 대한 시굴조사가 이루어져 다량의 瓦類가 출토되었다. 이들 출토 기와 중에 천왕사 창건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막새 2종에 주목해 보았다. 이 막새는 통일신라시대의 二重蓮瓣이 표현된 막새가 외엽과 내엽이 교차되어 표현되는 것과는 다르게 꽃잎(외엽) 내부에 자엽(내엽)을 배치한 문양이다. 이 二重蓮瓣은 6세기 전반부터 백제 지역에서 武寧王陵 출토 銅托銀盞, 王興寺址 출토 사리기의 문양에서 표현되었던 것으로 막새에서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으로 편년되는 부여 金剛寺址 출토품에서 나타난다. 천왕사지에서 출토된 이중연판 막새의 제작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이중연판 막새 4점과 일본 山田寺式 막새와 비교해 보았다. 국내 이중연판 막새는 출토량이 적어 비교자료가 희소하지만, 일본의 이중연판이 표현된 山田寺式 막새는 일본의 고대유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것이다. 천왕사지 출토 이중연판 막새는 산전사식의 亞式으로 분류되는 奈良縣 安倍寺, 群馬縣에서 출토된 막새를 동일계열로 비교 가능하고, 7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일본 群馬縣 上植木廢寺 출토품 중에 동형와로 볼 수 있는 막새가 포함되어 있다. 천왕사지는 이중연판 막새 이외에도 지표에 남아 있는 有孔形 有段式의 心礎石과 천왕사지 외곽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인화문토기편, 中板 타날된 평기와 등 출토유물을 통해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 이중연판이 표현된 천왕사지 출토품은 유적의 현황과 국내 이중연판 막새와의 비교, 일본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편년하였다. 따라서 고고유물인 막새를 통해서 천왕사의 창건연대를 추정해 볼 수 있으며, 현재로서 서울․경기권 寺址 출토 막새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막새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heonwangsa temple site is a large temple site located in the plain of Hannam Gyeonggi-do with wooden pagoda site, but has no information of its foundation period. The excavation works on the site were carried out in 2000 and 2001, and various roof tiles were found. Among these relic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wo types of roof tiles that can estimate the foundation period of the temple. Different to the traditional double lotus petal patter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n which outer leaves and inner leaves were intersected, the excavated lotuses have a pattern to place inner leaves inside the outer leaves. Such double lotus petal pattern was shown in silver cup with bronze stand of King Muryeong’s royal tomb, and Sari pagoda in Wangheungsa temple site. The roof tiles were excavated in relics in Geumgangsa temple site in Buyeo that was estimated to be made between later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To figure out the manufacturing period of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in Cheonwangsa temple site, it was compared with 4 domestic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s and those in type of Yamadadera type in Japan. While domestic tiles had little resources to compare due to few excavations, Yamadadera type roof tiles in Japan were widely used in ancient relics.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in Cheonwangsa temple site can be compared to be the same affiliates with those in Abedera temple in Nara prefecture and Gunma prefecture that were classified as affiliates with Yamadadera type. And there are some roof tiles that can be classified as same among excavations in Kamiueki temple in Gunma prefecture that was estimated to be made in the later 7th century. Cheonwangsa temple was conjectured to be foun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y the excavated relics such as Inwha pattern fragment, Jungpan Tanal plain roof tile from the outer area of Cheonwangsa temple site and Simchoseok of Yugong type and Yudan method besides double lotus petal pattern roof tile. The double lotus pattern roof tile was recorded to be made in the 7th century by comparing the domestic ones and Japanese resources. Accordingly, the foundation period of Cheonwangsa temple can be figured out by roof tiles as ancient relic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ose roof tiles are the earliest ones among those excavated in temple sites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