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사에서 왕릉은 고대사회인 삼국시대에 등장해서 조선 27대의 능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영되었다. 그러나 조선의 왕릉은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등 가치를 인정받았고 있다. 하지만 신라의 왕릉은 입지적 특성과 조영 방식에 있어 독자적 위상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존과 관리가 허술하고 연구도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왕릉 경관에 대한 조사 분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보존·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왕릉은 사후에도 국가의 안위와 번영을 위하는 뜻에서 도성주위에 배치하여 백성들과 더불어 존재하는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입지 특성 분석과 함께 입지에 미친 사상적 배경인 풍수지리적 함의를 함께 고찰하여야 한다. 연구를 위해 신라 56대에 걸쳐 조영된 왕릉 중 위치가 밝혀진 왕릉 중 경주 인근에 위치한 36기의 왕릉을 대상으로 위성사진과 측량도를 참고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장을 답사하여 사진 촬영과 주변경관을 조사하고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신라왕릉의 입지 특성은 신라초기에는 평지에 배치하였으나 점차 왕경이 확대됨에 따라 하대에는 산 능선 배치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향별 배치는 정남향과 동남향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서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 특이 하다. 신라 왕릉의 풍수형국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풍수길지의 이상형국을 갖춘 곳에 조영하였으며 이는 오릉과 무열왕릉, 삼릉, 선덕여왕릉, 탈해왕릉 등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In Korean history, Royal Tombs emerged in the Three Kingdoms era in ancient societies, and were being continuously constructed all over 27 generations of Joseon Dynasty. Despite Joseon Royal Tombs are included in UNSECO’s list of World Heritage sites, so that their values are recognized all over the world. However, the specialty of Silla Royal Tombs is ignored, such as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methods, so that management and research for those tombs is extremely inadequate. Particularly, for the sake of unsystemat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many severe issues have been exposed in the aspect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Historically, Royal tombs are usually located around the capital because of tombs’ significance to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s well as their importance of being an anchor to people and their living. Therefore, two aspects, characteristic of location and implication of FengShui, which impacts the former, should be surveyed. Our study focuses on 36 tombs out of 56, which are already located near Gyeongju. By referring satellite photos and surveys, those 36 tombs are positioned, their sites are examined and environment is analyzed via photograph of surroundings. Consequently, we found that, Silla Royal Tombs of Early Silla Dynasty, mainly locate on flat land, in comparison, tombs of Late Silla Dynasty mainly locate on hills. Most of tombs face south and southeast, a few of them face west, and others the least. Secondly, Feng Shui patterns of Silla Royal Tombs are strongly influenced by China, so that all of them are located in the area which is considered as the treasure around the periphery, such as Oleung,Muyeol Royal Tomb, Samleung, Seondeog Regina Tomb and Talhae Royal To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