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터넷 공간에서의 정보의 급격한 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파급력에 따라, 최근 각종 사회적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인터넷 상의 규제를 설계하고 있다. 규제의 형성 원인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창기 규제의 대상이 아니었던 네티즌이라고 불리우는 인터넷 공간에서 사용자들이 어떠한 사회적 형성의 변화에 따라서 규제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정부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부정적으로 인식됨에 따라서 그 대상집단의 선별을 위해 본인확인제(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인터넷 이용자들에 대한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과 정부의 인식 차에 따라서 규제는 제한적 본인확인제로 설계되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규제정책의 설계는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보다는 실제적으로 대상집단들의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따라 규제해야 할 대상자 또는 보호해야 하는 대상자로 인식함에 따라 규제의 설계 양식이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ternet regulatory policy is becoming controversial policy area as Internet and Cyber-space rapidly influential to our society and life. Anonymity has caused many social problems in internet space. Therefore some groups advocate that government should regulate internet space and the other groups advocate still liberal policies to internet arena with self-regulation. Hence internet regulatory policies has changed without consistency in Korea government. In this paper, we argue that social construction of target group as regulatee is critical factor how to design internet regulation by government and their change of social construction make change internet regulations. We analyzed how to adopt a restrictive internet real-name identification regulation depends on target regulatee groups divergence and their social construction change. We can find the internet users are recognized as positive and innovative groups as public opinion maker in initial stage and policy designed to support and promote the internet usage. But they are divided and some groups have negative image after a series focused events. Government internet policy change from supportive policy to regulatory policy. In addition, we can find there are some gap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citizen’s cognition to target groups, it caused non-compliance to internet regulator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