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modernization in Korea has been proceeded in conjunction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space in the capitalist way as much as in the western modernization. In this process, the space was considered to be empty and neutral, and also something to be objectively manipulated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or by characteristics of planners. As a result, the dwelling spaces in Korea appeared to be a dwelling machine where the capitalist ideology merged with the patriarchy is encapsulated. Individuals have experienced the sentiment of placelessness while being affected by this process as well as actively participating in it. Here, the sentiment of placelessness means the feelings of loss for deeper connection with the meaningful places. However, the placelessness does not only have the negative side. When imaging the possibilities of social change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open space, the placlesslessness means the emancipation of the everyday life which seems to be depoliticized.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beyond the rigid boundaries of individuals. As such possibility, the placelessness is rather a chance for new attachment to the place and new relationship with it than deprivation and abandonment of the place. We need to take it to consideration, however, that both sides of placelessness are based on the materialistic condition which is deprivation of housing rights. Speculating on these issues around the house, this essay takes closer look into the recent Korean films which dramatize the 'homeless-hikikomori couple narrative' and tries to imagine the alternative way to resolve the oppressions around the dwelling space in Korea.


한국의 근대화 역시 서구의 근대화만큼이나 공간의 자본주의적인 재편 과정과 함께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공간은 비어있고 차별성이 없으며, 기능적 효율성이나 경제적 제약, 또는 계획가나 개발가의 특성에 따라 객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한국의 주거 공간은 가부장제와 착종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가 각인된 '주거 기계'로서 등장한다. 그리고 개인은 이 과정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도 하면서 유의미한 공간과의 유기적 관계의 상실인 '장소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장소상실'은 전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만을 가진 것은 아니다. 사회 변화의 가능성을 공간적으로 사고함에 있어서, '장소상실'은 마치 탈정치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억압적인 일상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기도 하며 동시에 자아의 편협한 경계를 허물고 공생공존의 공동체를 상상할 수 있게 해준다. 가능성으로서의 '장소상실'은 '박탈과 유기'의 의미가 강조되었던 장소상실과 달리 오히려 공간과의 새로운 관계, 새로운 애착 형성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 양쪽의 의미에서 '장소상실'은 '주거권 박탈'이라는 현실적 조건을 공유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위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등장한 한국영화에서의 '노숙자-은둔형 외톨이 짝패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더불어 대안적 공간 개념인 헤테로토피아가 영화에서는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