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의 영화감독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郎)의 영화세계는 일반적으로 1949년 작품 <늦봄 晩春>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가 구분된다. 그런데, <늦봄>을 기준으로 오즈의 전기와 후기를 구분할 경우, 작품들이 과연 그것을 경계로 확연히 구별되는 양식적 성격을 보이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오즈의 전기와 후기 작품들은 영화 형식과 서사에서 상당부분 공통점을 가지는데, 그 중 하나가 감독의 주요 양식적 특성중 하나인 생략과 잉여의 문제이다. 본고는 <아버지가 있었다 父ありき>(1942)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로 오즈 후기의 특성으로 논의되는 주요 사건의 생략과 잉여로 구성된 서사적 특성이 전기에도 이미 시도되고 있었음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것은 후기영화들 위주로 담론화되어 있는 오즈에 대한 선입견을 깨는 시도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영화에서 주요 사건의 생략과 비약 그리고 서사와 무관해 보이는 요소들의 잉여적 삽입이 궁극적으로 서사와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다. <아버지가 있었다>에서는 죽음과 이별 같은 서사와 관련한 중요한 순간들이 생략되고 그 자리에 아무 상관없어 보이는 풍경과 정물 쇼트가 잉여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비약의 순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순간들은 서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파생하고 영화의 자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오즈의 영화적 서사 양식은 할리우드의 고전적 영화양식과 같은 관습적인 것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촬영과 편집 양식을 고려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오즈 영화의 현대성은 진부해 보일 수 있는 주제와 이야기를 오히려 진부하지 않은 혁신적인 방식으로 영화 서사를 구성하고 양식적으로 실험했다는 것에 있다.


The Japanese film director, Yasujiro Ozu had directed 54 films since his first film The Sword of Penitence(1927). The Late Spring(1949) is generally considered as the first film of the latter part of his filmography. However, in terms of his film style, one could ask what makes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part of the filmography. His early and late films have common denominators such as the ellipsis and jump of important moments in the film narrative developmen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re was a Father(1942), one of early Ozu films. In other words, it could be said that the ellipsis and jump are not only the characteristic of late Ozu but one of early Ozu’s narrative. It is an attempt to divest Ozu’s films of a preconceived notion in which late Ozu is generally discussed rather than early Ozu. It is also th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surplus shot. In the film There was a Father, one could see scenery and still-life shots when the important moments such as death and farewell are omitted. From this, the narrative gets stereoscopic vision rather than monotonous plot. The little and minor movement which is caused by the ellipsis and jump has an influence on the entire body of the narrativ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Ozu’s narrative style is an effort to keep the distance from the conventional film style of the classical Hollywood. In other words, Ozu removes unnecessary elements from the film and tries to approach the nature of the cinema. Ozu’s modernity represents the stylistic experiment by innovative ways. The theme and story which can be regarded as triteness do not look old-fashioned in his films because of his creativity and originality for the film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