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960년대 중후반 한국의 문예영화가 어떻게 장르화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예영화는 한국영화 장르역사에서 매우 특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복되는 극적 형상화의 패턴이 단일하지 않고, 주제의식에 있어서도 각기 다른 양상들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여기에서 중점을 두는 것은 개별영화로서의 문예영화의 장르적 특성이 아니라 문예영화를 둘러싼 특정한 역사적․문화적 제도의 문제이다. 문예영화가 장르화 된 것은 개별 영화들의 내적 속성보다는 제작자, 관객, 저널리즘․비평, 국가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었던 외부적 요인들이 더 결정적이었다. 첫째, 저널리즘과 제작자 사이에는 문예영화 흥행의 장르적 모범이었던 <갯마을>을 어떻게 장르 위치 짓는냐 하는 문제가 중요했다. 둘째, 제작자들은 저널리즘의 장르 용어(‘문예영화’) 사용을 통해 <갯마을> 이후 문학작품의 각색에 열을 올렸으며, 관객들은 ‘문예영화의 붐’과 그 용어의 전면적 유포 속에서 문예영화를 하나의 장르로 인식할 수 있었다. 국가는 또한 상업화되는 문예영화를 우수영화의 그물망으로 견인해냄으로써 국가적 제도화 육성의 틀을 다졌다. 셋째, 문예영화의 두 가지 정의 중 ‘대중영화와 대립되는 예술영화’의 개념은 1960년대 중반 이후 비평담론에서 영상 위주의 서구 예술영화 경향과 맞물려 <만추>같은 오리지널 시나리오 제작 영화도 문예영화로 간주하는 현상을 낳기도 했다.


This paper focuses how literary films in the late 1960s were formed as a filmic genre. Literary film holds a very unique position in genre history of Korean film. Indeed, literary film as a genre in Korea does not meet singular dramatic pattern, or common cinematic style. Especially, this study puts emphasis on not generic characteristics of literary film as individual films, but on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ion regarding literary film. What literary film becomes a genre is not because the internal attribute of individual films consisting of that genre. More important issues are the external sectors among film studios, audience, journalism and government. Firstly, the question of genre positioning between film studios and journalism was important. <The Seaside Village> that became a model of box office hit was called as literary film, thereby a generic terminology, 'literary film' was used broadly in film journalism. Secondly, film studios formed 'the boom of literary film'. As a result, literary film as generic terminology was circulated in a wholesale way. Accordingly, film audience could recognize literary film as a genre.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promoted institutionally literary film through labelling it as the "Best Film" chosen by the government. Thirdly, literary film existe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to European art cinema tendency. Thereby, even <Full Autumn> with its original screenplay was treated as a literary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