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920~30년대 경성의 조선인 극장을 중심으로 찰리 채플린(Charles Chaplin) 영화의 상영양상 및 맥락을 살펴보고 채플린 코미디가 조선의 관객들과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했다. 경성의 조선인 극장은 1934년 이전까지 서양영화상설관으로 불릴 만큼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할리우드 영화로 채웠다. 1934년 활동사진영화취체규칙이 공포되고, 정치·경제·문화적 이유로 조선에서 할리우드영화 상영 비율이 급감하던 1930년대 말까지 채플린의 영화는 조선에서 식지 않는 인기를 누렸다. 1918년부터 1937년까지 채플린의 영화들은 약 70여 회 상영과 재상영을 거듭했는데 1934년 <거리의 등불City Light> (1931) 이후에는 대부분 1910년대와 20년대 초반에 만들었던 단편 슬랩스틱 코미디들이 재상영 되었다. 음향 효과와 음악을 삽입하여 유성 영화로 재탄생된 뒤 RKO를 통해 배급되었던 이 단편들은 1930년대 후반 조선의 극장가를 지속적으로 순환하고 있었다. 채플린의 코미디로 다양한 모방, 번안, 패러디 영화를 만들었던 일본 영화계와 달리 조선에서 채플린은 영화보다 대중극단에 의해 먼저 수용되었다. 대중극단에서 채플린의 코미디는 재담이나 만담처럼 청각적 웃음의 전통이 강했던 조선의 코미디 경향에 ‘신체’를 통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시각적이고 영화적인 웃음의 양식을 가져왔으며, 퍼포먼스 단위로서 ‘슬랩스틱’을 조선의 흥행산업에 접목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한편, 채플린은 조선의 지식인 관객에게 동경과 선망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에게 채플린의 영화는 ‘동시대인’이자 ‘지식인’이라는 공통된 정체성을 확인 받고 나아가 ‘식민지인’으로서의 자각까지 획득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갑작스러운 근대화에 떠밀려 도시의 노동자, 빈민으로 살아가게 된 이들에게 채플린의 영화는 좀 더 실제적이고 체감적인 것이었다. 부적응자로 살아가면서 존엄성을 훼손당하는 주인공을 통해 빈곤과 소외의 문제를 전면화 하는 채플린의 영화는 항상적으로 좌절과 우울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동조’의 코미디였으며, ‘이미 와 있는’ 근대 세계에 대한 안내서이자 결코 녹록치 않은 근대를 경험하게 하는 일종의 완충제로 기능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and the significance of comedies featuring Charlie Chaplin on Korean audiences and popular culture in Korean theaters in the 1920s and 1930s, focusing on the screening of Chaplin’s comedies and the sensation it created in Korea. Korean movie theaters in Gyeongseong mainly screened Hollywood films, that they were even called Western movie theaters, until 1934, when the Regulation for the Control of Motion Pictures was promulgated. Until the late 1930s when the number of Hollywood film screenings decreased due to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reasons, Chaplin’s films were tremendously popular—both new films and reruns were screened over 70 times between 1918 and 1937. However, after City Light (1931) was screened in 1934, most films that were shown were reruns of Chaplin’s short slapstick comedies produced in the 1910s and early 1920s. These shorts had been reborn as a sound film by inserting sound effects and music, and distributed by RKO. Then in the late 1930s, they were circulated in Korean theaters. Unlike Japan, where Charlie Chaplin’s films produced various imitations, adaptations, and parodies, public theaters instead of films first adapted Chaplin’s comedies in Korea. Chaplin’s films brought the visuals and cinematic laughter with humor involving physical activities to the comedies performed in Korean public theaters, which had a strong tradition of auditive laughter that mainly consisted of jokes and witticisms in stand-ups. This allowed for the integration of “slapstick” as a form of performance to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Chaplin became an object of appreciation and admiration for the Korean intellectuals, who confirmed their shared identities as “contemporaries” and “intellectuals,” and also became aware of their status as “the colonized” through the films. On the other hand, Chaplin’s films were palpable and real for the common people who were forced by the modernizing world to become urban laborers and live in poverty. Chaplin’s films brought issues of poverty and marginalization to the fore through the protagonist, a social misfit whose dignity was constantly attacked. As such, his films elicited sympathy from the Koreans who faced incessant frustration and depression since the colonization of Korea by the Japanese. Chaplin’s films also functioned as a guide for the “already present” modern world and a buffer against the grievous modern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