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50년대 중반에 등장한 극장 지정좌석제는 당대 극장 공간을 재편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어떤 공간이든 힘의 긴장 관계가 내부화될 수밖에 없는데, 1950년대 극장 공간 역시 지정좌석제를 둘러싼 다양한 힘과 담론들이 갈등함으로써 새로운 양상으로 재편되고 있었다. 본고는 당대의 지정좌석제 담론을 통해 극장 공간을 통한 힘의 긴장 관계와 이를 통한 공간의 재편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5년 11월, 극장 위생과 질서를 바로잡는다는 명목으로 등장한 지정좌석제 시행 명령은 사회 내적으로 충분한 합의 없이 급작스럽게 도입됨으로써 도입 초기에 상당한 잡음을 일으켰다. 지정좌석제에 대한 우려는 극장 흥행업계로부터 불거졌으며, 극장 측은 수입과 운영의 면에서 지정좌석제를 시기상조라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기왕의 관행이었던 극장 무료입장자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으며, 그 중에서도 상이군인의 무료입장은 첨예한 갈등의 대상이기도 했다. 건강하지도 생산적이지도 못한 상이군인의 몸은 사회적으로 부정되고 배제되는 존재였으며, 이런 점에서 상이군인은 극장의 ‘경제’와 ‘시각성’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존재는 분명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극장 무료입장에 대한 당국의 제제가 가해지면서 이 제도에 대한 극장 측의 우려와 반대 여론은 차츰 잦아들었다. 한편 지정좌석제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 역시 존재했다. 이는 주로 공연자 및 관람객들의 입을 통해 발화되었는데, 그들에게 지정좌석제는 극장의 소음들을 비디제시스 영역으로 내몰고 시청각 중심의 디제시스적 공간으로 극장을 재편한다는 점에서 긍정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1950년대 중후반의 극장 지정좌석제는 극장 공간을 변화시키고 새롭게 재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극장 지정좌석제는 무질서와 불결의 원인으로 제시된 무료입장자 문제를 해결하고 잡스러운 소음들로 들끓던 극장에서 소음과 부산스러움을 소거함으로써, 부침을 거듭하던 시기의 불안정한 극장 공간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문화적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rved seating system in the mid-1950s was a significant event that restructured the theater space in Korea.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ense power dynamics cannot but be internalized in all spaces, the theater space in the 1950s was reorganized as various powers and discourses surrounding the reserved seating system came into conflict with each other. By studying various discourses on the reserved seating syste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wer dynamics in the theater space and the aspects of the reorganization of space which resulted from such power dynamics. In November 1955, the Korean government issued an enforcement order to implement a reserved seating system in theaters under the pretext of keeping theaters sanitary and orderly. As this system was abruptly enforced without sufficient agreement within the society, the new policy came under fire at the onset of implementation. The theater industry first voiced concerns about the reserved seating system, which they believed was premature considering the level of profits and the operation of theaters. As part of this argument, the issue of free admissions rose to the surface. An established custom at theaters, free admissions, particularly for disabled veterans, became the topic of a raging controversy. Disabled veterans were socially denied and excluded because of their unhealthy and unproductive bodies, and as a result they were not considered positive existences in terms of the “economy” and “visualness” of theaters. However, when the authorities began to impose restrictions on free admissions at theaters, the concerns of the theater owners and oppositions gradually died down. There were positive reactions to the reserved seating system as well, mainly from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 who acknowledged that the new policy would reorganize theaters into diegetic space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while confining unwanted noise to non-diegetic space. In this context, the reserved seating system of the mid 1950s in theaters have transformed and reorganized the theater space. The reserved seating system resolved the issue of free admissions, which were criticized as the root cause of disorderliness and filthiness at theaters, and also eliminated noise and bustle from theaters, thereby serving as a momentum to bring stability to the unstable theater space during the time of turbulence and for Koreans to overcome cultural inferi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