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의의 목적은 <한국인의 밥상>을 대상으로 해서 음식 다큐멘터리 TV의 형식과 그것이 제공하는 수용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 에스노그라피적 관점에서 그것의 대중문화 실천으로서의 의의를 헤아려 보는 데 있다. 본고의 연구는 미디어화된 대중문화로서 음식 문화가 갖는 리얼리티 구성의 효과, 연행성(performativity)의 고찰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다시 말해서 ‘한국적 맛’→‘한국적 맛의 미디어화’→‘한국적 맛의 미디어화를 수용하는 시청자의 리얼리티 구성 과정’이 본론에서는 고찰될 것이다. 대중적 삶의 가장 공통적인 분모로서 음식이 갖는 의의를 해명하는 일에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들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규명은 일정 정도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더불어 현재 팽창하고 있는 텔레비전 쿠킹 쇼에 대한 한 접근법을 본고는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푸드멘터리로서 <한국인의 밥상>의 네 가지 다큐멘터리 양식을 분석한다. 해설적, 관찰자적, 반성적, 시적 양식 등이 그것들이다. <한국인의 밥상>이 푸드멘터리로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한국적 음식과 관련한 경험주의적 리얼리즘의 투명성이라는 점을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고찰한다. 푸드멘터리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시청자의 수용 경험이 분석된다. 푸드멘터리의 특성 상 한식과 관련된 현실 세계의 역사적, 사회적 진실에 관한 논증 학습은 시청자의 수용 행위에서도 주요한 활동이다. 그럼에도 한식 만들기 및 먹기가 환기하는 상상적 몸의 경계 해체, 재구성 과정을 통해, 다른 존재가 되기를 원하는 시청자의 주관적 반응과 상상력이 프로그램에서는 자극되고 있다. 본론 세 번째 부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은 특히 “먹고 싶은 것”으로 한국적 음식을 인지적으로 조작하며 그것을 시청자와의 상호행위의 소통적 사건으로 구성하는 데에 감정과 기억의 내밀한 부분이 중요한 유인가(incentive)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낯선 것’에서 ‘먹는 것’으로 먹는 것에서 ‘먹고 싶은 것’으로 한국적 음식과 관련된 지각 경험의 범주를 새롭게 조작하는 작업에서 밥상을 차리던 한국 할머니, 어머니들의 전통적 손맛에 대한 감정적 기억의 체험이야말로 시청자가 TV 화면을 밥상으로 상상하게 되는 핵심적 동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밥상>에 이미지화되는 전근대적 밥상의 모습 또한 전통적 라이프스타일을 인스턴트식 상품으로 내놓는 문화경제의 사이클에서 예외일 수 없다는 점을 본 논의에서는 지적하려 한다. 한국적 음식과 관련된 실제 있는 그대로의 사람들의 감정과 기억을 시청자들이 보고 느끼고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문화적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수사학적 전략의 산물일 수 있는 까닭에서다. 미디어를 경유한 먹기, 보기, 소비, 생산의 복합적 네트워크 속에서 감정, 감각, 기억과 같은 차원에 의하여 자기 효능감을 발생시키거나 타인과의 구별 짓기를 형성하는 식으로 중층적으로 매개되고 있는 것은 주체-대상, 자아-타자의 관계에 대한 욕망 자체다. 현재 텔레비전의 공익성과 상업성이 새롭게 재편성되고,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예능의 경계가 혼성화되는 상황 속에서 텔레비전 쿠킹 프로그램의 대중성을 주목해야 할 까닭도 이러한 점에서 연원한다. 대중문화는 비유컨대 음식처럼 친밀한 것들에 관한, 감각적, 감정적, 기억의 이데올로기화된 키친이며, 그 중에서도 텔레비전 화면이야말로 최적화된 주방이다.


My purpose is to discuss the form and acceptance aspect of food documentary television, examining the Korean Table. Basing on these findings, my goal in this paper is to outline its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from visual ethnographic perspectives. This paper thus attempts to identify the taste culture's performativity with impact on reality construction as a mediated popular culture. In other words, an exploration of how audiences construct their identity through watching the mediated Korean tastes is examined in our discussion. In this article, I will endeavor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food in popular culture. focusing on the issue of a cultural approach to television culinary programs. Moreover, I wish to address a new approach to a rapid surge of television cooking shows. In the present paper, we shall first consider four documentary forms of the Korean Table as the foodmentary, that is, expository, observational, reflexive, poetic documentary forms. So, I will provide an framework for the transparency of experiential realism related with Korean food in the Korean Table. Secondly, we shall analyse audience acceptance. On foodmentary characteristic, it is important for audience to learn an argument for historical, social truth of Korean food. Yet, through imaginatively deconstructing, reconstructing body's limits by making and eating the Korean food, audience responses with desiring to become other beings are stimulated. Finally, this study purport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emotion and memory in order to cognitively fabricate the Korean food as wanting something to eat. This structure functions as strong incentives for constructing the Korean Table as audiences communicative events. Emotionally experiencing or remembering the traditional cooking skill of Korean grandmothers and old ladies provides a key motivation for audience's imagining television screen as table. Nevertheless, this paper is to make explicit that Korean Table's images as traditional table are too convenience commodities for selling preindustrial life styl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udience watching and feeling for real people, real emotion, real memory related with Korean food are themselves strategic rhetorics for constructing cultural reality.